##_revenue_list_upper_##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7 Page) :: 킹제적 자유
반응형

SK에코플랜트 "국내 최초 'SOEC 활용' 친환경 수소 생산 시대 연다" (news1.kr)

 

SK에코플랜트 "국내 최초 'SOEC 활용' 친환경 수소 생산 시대 연다"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thebell Free

 

[SK건설 지분 매각]SK디스커버리, 낯선 'PRS' 왜 선택?

SK디스커버리가 SK건설 지분 전량을 PRS(Price Return Swap, 주가수익스왑) 방식으로 매각한 '딜 스토리'에 관심이 쏠린다. PRS는 SK건설의 주식가치에 대한 향후 수익 혹은 손실을 거래 상대방들과 공유

m.thebell.co.kr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newsway.co.kr)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뉴스웨이의 타깃은 기업(금융기관 공기업 포함)과 기업이 투자자와 만나는 자본시장입니다. 기업에 대해 왜(why)라는 질문을 던지며 경영자 리더십과 경영전략, ESG(환경,사회,지배구조)까지 심도

newsway.co.kr

 

 

IPO 10조 가즈아!~!!!!

반응형
반응형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2/02/14/2384232/0/en/Scorpio-Tankers-Inc-Announces-Financial-Results-for-the-Fourth-Quarter-of-2021-and-Declaration-of-a-Quarterly-Dividend.html

반응형
반응형

https://www.energy.gov/articles/doe-establishes-bipartisan-infrastructure-laws-95-billion-clean-hydrogen-initiatives

 

DOE는 새로운 수소 허브, 산업, 운송 부문을 탈탄소화하고 모두에게 더 건강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청정 수소 제조 프로그램에 대한 대중의 의견을 구합니다.

워싱턴 DC — 미국 에너지부(DOE)는 오늘 초당파 기반시설법의 지역 수소 허브와 전기분해 및 청정 수소 제조 및 재활용 프로그램의 구현 및 설계를 알리기 위해 이해 관계자로부터 피드백을 수집하기 위한 두 가지 정보 요청(RFI)을 발표했습니다. . 이 요청은 발전을 가속화하고 기술 비용을 줄이며 청정 에너지 운반체로서의 수소 사용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청정 수소는 2035년까지 100% 청정 전력망 및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 제로라는 바이든 대통령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DOE의 전략에 매우 중요합니다

. 미국 노동자들에게 좋은 급여를 제공하는 일자리를 창출하는 동시에 시멘트와 시멘트미국 에너지 장관 Jennifer M. Granholm . "우리는 이 깨끗하고 저렴한 에너지원을 미국에서 현실로 확장하는 방법에 대한 미국 대중의 피드백을 찾고 있습니다."  

초당적 기반법의 수소 기술 투자는 국내 탄소 배출량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산업 부문을 탈탄소화하려는 바이든 대통령의 계획의 주요 구성요소입니다. 수소 에너지는 대형 운송 및 철강 제조를 포함한 여러 경제 부문을 탈탄소화하고, 고임금 일자리를 창출하며, 청정 에너지 자원으로 구동되는 그리드로 가는 길을 열 수 있는 잠재력이 있습니다. 오늘날 미국은 연간 약 1천만 톤의 수소를 생산하며,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9천만 톤이 생산됩니다. 미국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수소는 증기 메탄 개질을 통해 천연 가스에서 생산되지만 전기를 사용하여 물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전기분해 기술은 미국 전역에 수십 개의 설치가 있는 새로운 경로입니다. 

초당적 기반 시설법에는 산업 부문 및 그 이상에서 청정 수소 사용을 확대하기 위해 일자리를 창출할 지역 청정 수소 허브에 80억 달러가 포함됩니다. 청정 전기에서 생산되는 수소 비용을 줄이기 위한 청정 수소 전기분해 프로그램에 10억 달러; 장비 제조 및 강력한 국내 공급망을 지원하기 위한 청정 수소 제조 및 재활용 이니셔티브에 5억 달러. RFI는 청정 수소 프로그램의 설계를 알리기 위해 지역 리더, 지역 그룹, 환경 정의 커뮤니티 구성원, 연구원, 기술 개발자, 기업을 비롯한 다양한 이해 관계자로부터 의견을 수집할 것입니다. 이 피드백은 또한 안전한 기후 미래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효과적이고 공정하며 지속 가능한 배치를 알려줄 것입니다. 

수소 허브 구현 전략 RFI의 주제에는 모집 프로세스, 자금 조달 기회 발표(FOA) 구조 및 구현 전략이 포함됩니다. 형평성, 환경 및 에너지 정의(EEJ) 및 우선순위; 수소 허브의 시장 채택 및 지속 가능성. 청정 수소 제조, 재활용 및 전기분해 RFI의 주제에는 청정 수소 장비 및 부품의 제조 및 공급망; 연료 전지를 포함한 수소 최종 사용 기술 재활용에 대한 접근 방식; 및 전해조의 개발, 테스트 및 통합. 

이러한 RFI로부터 받은 피드백 은 청정 수소 비용을 10년 안에 1kg당 1달러로 줄이려는   DOE의 Hydrogen Shot 노력을 뒷받침할 것입니다.

Hydrogen Hubs 구현 전략 RFI 보기 . 응답은 동부 표준시로 2022년 3월 8일 오후 5시까지입니다.   

청정 수소 제조, 재활용 및 전기분해 RFI 보기 . 응답은 동부 표준시로 2022년 3월 29일 오후 5시까지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ㅊ100불에서 40불까지 수직 낙하.. 그게 불과 2달인가? 밖에 안걸림 ㄷ

 

중간에 이쯤되면 빠질만큼 빠졌다고 들어간게 70불

 

후드려맞음 ㅋㅋ

 

공부하고 확신을 가지고 들어갔었지만 역시 금리인상기에는 조금 비싼면이 있긴했는듯..

 

좋은회사, 성장하는 회사는 맞지만 싼 종목은 아니었다?

 

지금쯤이 적정 가치가 아닐까싶고 일부 물량은 덜어내서 리스크관리 완~!!

 

물론 21년 10-k 나오면 밸류를 다시 계산해봐야겠지

 

 

반응형
반응형

요즘 원자재 이슈가 몹시 핫하죠?

 

그로인해 조일도 많이 올랐다가.. 지금 좀 조정받고 있고

물론 급등에는 2차전지 발 이슈가 엮여서 이기도 합니다 ㅎㅎ

 

시클리컬인 알루미늄 산업에도 이번 2022년 피크아웃이 통할것인가? 궁금해 공부해오던 중었습니다.

 

다음 내용에는 주담 통화 한 내용을 적어 두셨으니 쭈욱 읽어주세요~

 

 

 

1. 원재료 수급 차질 이슈는 없는지?
연간 계약으로 납품받아오기때문에 크게 문제되지는 않음.

2. 22년 23년 등 앞으로의 알루미늄의 수요 추정치는 있는지?
구체적인 숫자는 없으나 올해는 21년보다 더 나을것으로 추정.

3. 판가 인상 관련 새로운 이슈가 있습니까?
시장가격에 매달 전가시킴.

4. 사이클 기업 -> 이차전지 끼고 업황의 장기 우상향 가능성?
그렇게 기대중.

5. 롯데 알미늄 외 타 업체와의 계약 가능성?
케파 한계로 지금은 불가능.

6. 증설 후 기대되는 케파는?
일부 라인 증설. 결국 2차전지 관련된 부분은 증가 기대.
전체 케파에서는 고정된다.

7. 생산능력의 변동이 꽤나 있던데 기계 설비의 유지보수로 인한 변동인가요?
생산 능력자체는 고정되거나 늘거나 하는 중이고 증설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임.

반응형
반응형

1. 보냉재 매출 관련

 

케파 증설하지 않는다고 매출 한계에 관련한 말이 많길래.. 

 

1) 연 케파가 20척에 * 선가 상승률 감안한 추정 & 주담 통화 확인한 납품 가 척 당 160억(150억에서 증가)

= 3200억. 

 

2) 선가는 지속적으로 상승 중인만큼 160억에서 추가 상승도 기대하고 있고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

 

3) 한국카본의 연 인도 케파는 20척이고 동성화인텍의 주담 통화 이력 확인 시 연 20척 분량이 맥스로 인도 가능한 카페라고 한다. 즉 둘 다 비슷하다. 

 

4) 동성 향으로 20~30억의 트리플렉스 납품 * 연 20척 인도 = 400 ~ 600억인데.. 이것만해도 매출액이 벌써 3600 ~ 3800억이다.

 

5) 물론 동성에서 납품하는 모든 물량에 트리플렉스가 들어가는 부분인지는 좀 더 파악해봐야겠지만..(선주의 요규 기화율이나 이런 부분들에 따라 변동되는 듯) 

 

6) D/F 엔진 용 LNG 부속 장치에 관련된 보냉재들을 수주하기 시작했음. 타입에 따라 10 / 30억이라고 한다. 

아마 마크 3가 들어가는 것이 30억 아닌 것이 10억이겠지.. 예전에 주담 통화 후 추정했던 게 어디서 미스가 좀 있었는 듯. 척 수가 10척 분량이 아니라 그 외에 것도 같이 포함해 400억인 듯?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44?category=1018113 

 

7) 뉴스의 4척과 아무튼 올해 들어 삼중 발 11척 수주를 또 새로 받았는데 평균 15억으로 잡으면 225억. 200억 잡고..

한국 글로벌 설루션, LNG 추진 탱커 4척 가스연료공급시스템 수주 (sentv.co.kr)

 

8) 총합은 3800 ~ 4000 억

 

9) 그런데 역대 최대 매출이 4000억 이라지.. 다른 사업부는 하나도 계산 안 했을 때 3600 ~ 3800억인데..

 

10) 물론 납품하고 대금 인수 시기에 따라 어떤 분기는 매출액이 좀 더 높고 어떤 분기는 매출액이 좀 더 낮고 그 변동 서은 있겠지만 이런 흐름과 엄청 쌓여있는 수주 잔고가 핵심.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21?category=1018113 

 

 

2. 보냉제 외 사업부

 

1) G/P 사업부의 올해 성장성에 주목.

 

2) 건설 물량은 19년 바닥 찍고 20년부터 상승 중에 있었으며 지금 대선 토론을 보면 여, 야 할 것 없이 한 목소리로 건축 증가 외치는 중.

 

3) 건자재 관련 대통령 시행령으로 바닥재 등에서 불연자재가 필수로 바뀜에 따라 납품 단가 상승. (지난번 주담 통화 이력 참조)

 

4) LX 하우시스는 이에 맞춰 공장 증설 중. PF단열재에 대한 수요 증가로 PF단열재 가동률은 Full CAPA 수준. 4 공장 증설 중이며 2022.03 준공

 

5) 바닥은 보통 마감 재니까 아파트 건설 2년에 후반부에 들어간다 치면 20년에서 21년 상반기 내 착공된 물량들이 올해 매출을 좌우할 듯.

 

6) 항공 소재, 풍력 블레이드, 배터리 케이스와 같은 신 사업은 좀 더 먼 미래를 보고.. 그러나 수주로 간간히 찍히고 있음은 고무적인 사항.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56?category=1018113 

 

 

3.  주담 통화 내용

 

그렇다면.. 다음에 나오는 글에서는 주담 통화 내용을 적어보겠습니다~

 

 

1) 동성화인텍 향 트리플렉스 단가 추이도 상승 추세인지?
기 계약에선 변동 없고 선가 상승 후 체결하는 신규 계약에는 상승 기대.

2) 보냉재 연 케파가 20척으로 알고 있는데 D/F 향 수주 및 동성 발 물량과 겹칠 시 꼬이지는 않는지.. 별도의 생산 공장이 있어서 간섭하지 않는지?
관계없습니다.

3) G/P의 주 고객이 LX하우시스로 아는데 그 외에 알만한 기업이 있나요?
한화.

4) 글라스 페이퍼 납품에서 주 된 경쟁사 알려주실 수 있나요?
KCC. 이유는 KCC는 자체 내재화하기 때문

5) lx 청주 공장 증설인데 우리 회사의 납품 물량이 증가할 가능성 있나요?
향후 한자리 수 증가율 기대.

6) lx하우시스 사업보고 서보니 바닥재의 판매가가 10% 정도 늘었는데 우리 회사의 납품가도 증가 가능한가요?
소폭 인상. (아마 원재료 상승 분만큼만 올라가는 것으로 판단)

7) D/F (PCB) 산업의 근황? 생산, 실적 등
유지 중. 이익에서 크게 기여 없음.

8) 풍력단지 조성 관련해서 우리 회사와 연결된 새로운 소식 있나요?
풍력 단지 발주 계획이 나와봐야 정확히 알 수 있을 듯.

9) 풍력 블레이드 납품 관련해서 과거에 휴먼 컴퍼지트라는 회사에 한 이력이 있던데 이번에도 그런지?
아니면 외산 터빈업체와 협력할 가능성도 있는지?
마켓은 열려있으나 가능성은 크지 않다.

 

늘 친절한 주담님 감사합니다.

 

 

4. 참고

주담 통화_한국카본 3 22.02.08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반응형
반응형

 

 

 

> 공에서 하면 좋겠지만.. 민이든 공이든 어쨌든 투자 많이 해주시기들..ㅎㅎ

 

 

전기차 충전소 대폭 확대 나선 美…"5년간 6조원 투입" : 네이버 뉴스 (naver.com)

 

 

전기차 충전소 대폭 확대 나선 美…"5년간 6조원 투입"

미국 교통부가 전기자동차 충전소를 대폭 확대하기 위해 5년간 50억 달러를 지원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CNBC, AP통신 등에 따르면 미 교통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국가 전기차 기반시설 구축 프로

news.naver.com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