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6 Page) :: 킹제적 자유
반응형

1. 실적

 

  • 매출액에서 증가가 참 마음에 드네요. 여전히 그리고 꾸준히 잘 성장하고 있습니다.
  • 분기별로 매출액 기준 1000억 > 700억 > 900억 증가했네요.
  • 매출액 기준에서 네이버 컨센 3844억으로 어닝 서프 20% 달성했습니다.
  • 영업이익 기준에서 네이버 컨센 721억으로 어닝 서프 2% 달성했습니다.
  • 순이익 기준에서 네이버 컨센 468억으로 어닝서프 15% 달성했습니다.
  • 21년 총합 매출액 12587억 / 영업이익 1903억 / 순이익 1410억 달성했습니다.
  • 각 각 네이버 컨센 기준 어닝 서프는 매출액 6% / 영업이익 0% / 순이익 6% 달성했습니다.
  • 20년 대비 21년 성장은 각 각 매출액 73% / 영업이익 31% / 순이익 6% 달성했습니다.
  • 20년 영익률 18.5% 에서 21년 15% 로 소폭 낮아졌습니다.
  • OPM이 낮아진 건 일단 표면적으로는 좋게 와닿지 않는데요. 세부 사유는 차후에 살펴볼 예정입니다.
  • 광고 마케팅 비용이 급증해서 일까요? 사업보고서 나오면 반드시 체킹해봐야겠습니다.

 

2. 좋은 소개 글 공유

 

토스에서 한 분을 모셔서 BM 적인 측면에서 요모조모 분석했네요 

밑을 참고해 주세요

 

 

 

하이브에서 BTS 빼면 뭐가 있냐고요? (toss.im)

 

하이브(HYBE)에서 BTS 빼면 뭐가 있냐고요?

21세기 팝 아이콘으로 불리는 BTS를 만들고, 저스틴 비버와 아리아나 그란데의 소속사인 미국 최대 엔터 기업 이타카 홀딩스까지 인수한 하이브(HYBE).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판을 깨는 하이브의 현

blog.toss.im

하이브 4Q21 컨콜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하이브 4Q21 컨콜

자본가 노력맨

blog.naver.com

 

반응형
반응형

엔터 산업 콘서트에 대해 정리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반응형
반응형

"다쓴 배터리 돈 되네"..SK에코, E-웨이스트 기업 인수한 이유는? (daum.net)

 

"다쓴 배터리 돈 되네"..SK에코, E-웨이스트 기업 인수한 이유는?

SK에코플랜트가 싱가포르의 E-웨이스트 전문 기업 테스(TES)를 인수하고 글로벌 IT 기기 및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재사용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고 21일 밝혔습니다. E-웨이스트는 수명이 다

news.v.daum.net

 

반응형
반응형

1. 가격 상승

 

 

  • 모든 기초 소재들이 다 오르는데 바닥재, 마감재라고 안 오를 리 없잖아요?
  • 그에 맞춰서 한국카본 소속 한국신소재에서 생산하는 글라스울 판가가 3월에 10% 상승한다고 하네요
  • 한국카본의 주 고객사 lx하우시스와 한화도 가격 상승에 동참하고 있고요.
  • 21년 하반기에 바닥재에 불연소재가 필수로 들어감에 따라 제작의 난이도 상승으로 인해 판가도 올라간다고 확인했습니다.
  • 기사에 따르면 독과점 형태라 판가 전이는 확실한 걸로 사료되네요.

 

e대한경제 (dnews.co.kr)

 

[천장 뚫린 건자재價] 신규 건설공사 계약체결 놓고 고심

석고보드·글라스울 등 추가인상 예고알루미늄값 상승에 알폼도 더 오를 듯대형사

www.dnews.co.kr

 

2. 관련 포스팅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106?category=1018113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44?category=1018113 

 

반응형
반응형

1. LNG 수주 순항중!

 

  • 대조양은 아무래도 동성 발 물량이고 삼중, 현중은 우리 한카가 기대해봄직하죠 ㅎㅎ
  • 카타르 발 소식은 기존에 4척이었는데 16척으로 올라갔나 보네요
  • 스팀 터빈 효율도 안 좋고 기름도 많이 먹고.. 하루속히 D/F 엔진으로 신규 선박 나오길 기대해봅니다.

 

2. 우상향하는 신조선가

 

 

  • 계속 높아지고 있는 신조선가.
  • 2년 전만 해도 고작 180만 불이었는데 어느덧 217백만, 2600억이 됐네요.
  • 기자재 업체들에게도 온기가 불겠죠? ㅎㅎ
  • 다만 일감은 많은데.. 인력이 모자란게 작금의 상황이고..
  • 선가 상승 -> 밸류체인 회사들 매출 상승 -> 임금 상승 -> 건조 속도 향상 선순환을 그리게되길..

조선기자재 일감 몰려도 인력난에 ‘울상’ (kbs.co.kr)

 

3. 대외 이슈

 

미국산 LNG, 러시아산 빠르게 대체...EU수장 "韓·日 LNG 유럽행 가능" - 파이낸셜뉴스 (fnnews.com)

 

  • 전쟁은 원래 복합적인 셈법을 바탕으로 이뤄진다고하죠.
  • 금번 이슈로 러시아는 원자재 상승으로 인한 외화벌이, 바이든은 지지율 하락의 이슈 전환 이 가장 큰 수혜이지 않을까..
  • 이번에 크게 데인 유럽입장에선 노드스트림 원 툴에서 이제 복합-다변화 트렌드로 셰일가스의 적극 도입을 검토할 것이라 포스팅 한 바 있죠.
  • 그런데 미국산 셰일 가스는 PNG가 아닌 LNG 이기에 선박의 운송이 필수입니다!!

<관련 포스팅>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98?category=1018113 

 

4. D/F 엔진 발 보냉재

 

  • D/F ENGINE에도 역시 우리 카본의 보냉재가 많아지길.. 
  • 비록 아직은 동성이 주류라 카본이는 비주류였지만요 ㅠ

 

5. 신규 소식들

 

  • 수주 잔고 엄청나네요
  • 조만간 엑셀로 정리 한번 해야겠습니다 답안지가 여기 있네요 ㅎㅎ

 

6. 그렇다면 한국 조선의 최대 리스크 중국 조선은?

 

이어지는 본문에서 지속됩니다.

 

 

  • 한국 조선의 최대 리스크, 쭝꿔도 여기저기서 오른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때문에 저가수주는 지양한다고 하네요.
  • 거기다가 앞으로 원자재 전망도 강세가 예상되고
  • 수주 잔고도 그득한데 굳이 저가 수주로 마진없이 무료 봉사로 도크를 채워야 할 이유는 없을 듯하네요.

 

7. 종합

 

  • 여기서 LNG 빈칸이 가득가득 채워지겠네요~~
  • 조만간 엑셀에 넣어서 한국카본의 밸류에이션을 더욱 긍정적으로 해봐야겠네요 ㅎㅎ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러시아가 뒤흔든 원자재 시장···니켈·알루미늄 재고 최저수준 (khan.co.kr)

반응형
반응형

eps 성장을 몹시 빡세게 잡음..ㄷㄷ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