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2022년, 2023년 미래예측) 점성술사 - 인도 소년 아난드 :: 킹제적 자유
반응형

인도 소년 아난드 - 점성술사

 
 
원 글은 2021년 말 비트코인 하락 시기에 처음 봤던 글인데 지금 뭔가 유사한 상황이 나타나는 거 같아 
 
재미삼아 다시 써봅니다. (개정된 부분은 굵은 글씨체 변조해서 씁니다)

 

신기해서 과거에 말한 것들도 제법 살펴봤는데 꽤나 잘 맞춰온 듯합니다.

그런 측면에서.. 재미로나마 시나리오별 대응 방안을 생각해봤어요 ㅋㅋ

1. 11월 21일 이후 암호화폐 폭락

--> 21.12.04 폭락 및 반대매매 발생

--> 저점은 어디인 것일까..? 적어도 오늘은 아닌 것으로 판단

--> 차트상.. 심리상.. 11월 마지막 주에 다 털었는데 다행..

--> 오미크론의 대응과 연준의 방향성에 따라 트리거가 될 수도 있겠다 싶음..

--> 날짜는 12월 2~셋째 주

=> 매크로도 안 좋고 금리인상기에 전쟁에.. 각 종 악재가 겹쳐 비트는 아직 전고점 대비 한참 밑이죠..?

=> 물론 주식 포함 자산시장이 전반적으로 안 좋은 것도 맞겠네요

 

2. 12월 둘째 주 더 큰 규모의 코로나 발생

--> 시기는 좀 달랐지만 오미크론 발생

--> 전염성이 강하게 변이 된 관계 + 전 세계의 위드 코로나 = 전염성 증가

--> 그러나 경제 이슈로 봉쇄나 셧다운은 없을 것을 판단

--> 통상 전염성과 독성은 반비례하므로 인체에 악영향은 줄어들었을 것으로 기대

--> 데이터 추론 중인데 2~셋째 주 발표되는 것을 유심히 봐야 할 듯

--> 당장에 여행, 항공, 카지노 등 위드 코로나 관련 섹터는 약세일 듯

-->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롱일 수도...?

 

=> 오미크론이 대 유행했죠?

=> 하지만 점차 그냥 독감 취급에 마스크 벗는 나라, 카운팅조차 안 하는 나라들이 늘고 있습니다.

=> 한국도 점점 규제 완화하는 추세고요.

3. 올 겨울 철 중국 경제 위기의 심화와 극한 기후 형성

 

아래 본문에서 이어집니다.

 

 

 

--> 디디 추싱 상폐나 헝다 파산 같은 부동산 이슈가 트리거가 되지 않을까..?

--> 비슷한 사업이나 부채가 심한 회사들은 주기적으로 이슈 터질 듯

--> 그러나 당국의 적극 관리 의지가 있고 지준율 인하에 완화적 스탠스도 있는바

--> 연쇄적 파산이나 큰 경제위기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 같고 지금 정도의 수준 예상

--> 만약 정도가 심하다는 가정하에서는... 다음처럼 생각이 되는데..

--> 중국 주식은 투자 금지

--> 중국에 관련된 회사, 노출이 큰 회사도 안 좋을 것임

--> 기초 원자재가 중국에서 나오는 것이 많으므로 세계 전반적으로 악영향

--> 석탄, 폴리실리콘, 규소, 마그네슘, 등등.. (요소수..ㅠ)

--> 제조업 전반에 밸류체인 상 악영향.. 다변화가 미리 돼있는 회사가 좋을 듯

--> 추위 관련주: 의류, 유가, 석탄, 천연가스 의 가격 상승이 예상됨.'

--> 다만 의류는 동남아 이슈나 코로나로 물류대란은 겹친 상태..

--> 음식료 섹터도 안 좋을 듯

 

=> 중국은 여전히 경기가 안 좋은 듯합니다. 이 시기에 혼자 금리 내리고 경기 부약 책이라니..

=> 올 겨울 몹시 추웠었죠. 특히 한국보다 유럽, 미국 쪽

 

4. 22년 4월 불과 관련된 재앙

--> 불과 관련이면 가뭄이 큰 상태에서 산불이 발생해 오랫동안 안 꺼지는 현상인 듯.

--> 얼마 전 LA 산불이나 호주..였나? 그런 형태이지 않을까

--> 한국에서 발생하는지 특정 국가, 지역에서 발생하는지.. 혹은 전 세계 동시적 현상인지 확인

--> 2월 3월부터 일기예보를 보며 건조하고 햇빛이 많은 날이 지속되는지 체크

--> 한국에 발생한다면,, 인공강우나 물 관련주들이 좋지 않을까 싶고

--> 타 국가에서 발생한다면 미국은 물 인프라 관련주가 많지만..

--> 그 외에서는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잘 생각해 봐야 할 듯.

 

=> 지금 울진에 큰 불이 났습니다.

=> 건조한데 강풍까지 엎쳐서 불이 빨리 번지고 있다고 합니다. ㅠㅠ

=> 원자력 발전소까지 옮겨 붙은 것은 아니지만 안전을 위해 미리 정지해 대비하고 있고요.

=> 4월 불과 관련된 재앙이 설마 한국의 울진을 지칭하는 것은 아닌가 우려스럽네요.

=> 물론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큰 불로 인한 재앙은 일어나지 말았으면 합니다.

5. 23년 세계 경제의 번영과 코로나 정상화

--> 코로나 극복과 미국의 금리 인상이 마무리된 시점 후일 것으로 생각

--> 남아 있는 악재가 없어서 주가는 좋을 수 있다.. 정도로 생각.

 

=> 이 것만은 제발 진심이길 오매불망 2023년 기다려봅니다 ㅠㅠ

=> 코로나로 힘든 자영업자 분들, 취직이 어려운 청년들, 하루하루 근근이 생활하시는 노약자 분들 모두들에게 볕 들 날이 오길..!!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