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알루미늄 제조 공정 :: 킹제적 자유
반응형

1. 공정 소개

  • 경쟁사인 노벨리스의 유튜브에 굉장히 자세히 나와 있으니 한번 보는 걸 추천~

https://www.youtube.com/watch?v=J9L8hsrVDkk&t=9s 

 

 

2. 공정 구분.

 

1) D.C (Direct Chilled Casting) : 직접 주조

  • 슬라브 틀에 알루미늄 용제를 부어서 제조하는 방식.
  • 상대적으로 고가이며 최종단에서 정밀함을 요하는 제품군에 사용하는 방식.
  • 품질이 좋음.
  • 반도체, 자동차, 선박, 특수용, 정밀부품용.

 

2) C.C (Continous Casting) : 연속 주조

  • 액체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감아 코일로 만드는 방식.
  • 상대적으로 저가이며 최종단에서 품질이 중요하지 않는 제품군에 사용하는 방식.
  • 표면 품질이 떨어짐.
  • 건자재, 도장 용.

 

3. D.C 공정

 

원료 -> 용해 -> 주조 -> 면삭 -> 균질화처리 -> 열간압연 -> 냉간압연 -> 소둔 -> 재단 -> 포장

 

1) 원료

  • 보크사이트에서 추출, 제조해서 들여온 잉곳이나 재활용 위한 스크랩 사용.
  • 최근에 인도네시아에서 문제 제기를 한번 했는데.. 보크사이트만 사 와서 다른 공장에서 제조하는 것은 앞으로 어려워질 수도..

인니 광물수출 또 금지… 이번엔 알루미늄 원료 (sedaily.com)

 

2) 용해

  • 잉곳, 스크랩을 반사로에 넣고 녹이고 청정화 시키는 공정.
  • 전기로를 사용하기에 전기요금에 따라 매출원가에 영향을 미침.

 

3) 주조

  • 필터를 거쳐 불순물 제거한 뒤 수랭식 금형에 집어넣어 직육면체의 슬라브로 만드는 공정.
  • 거푸집.

https://www.youtube.com/watch?v=OQ9i8TYjYaU&t=271s 

 

 

4) 면삭

  • 슬라브 표면의 불순물이나 불규칙한 부분 제거

 

5) 균질화처리

  • 열간압연 전 전 처리하는 공정.
  • 가열하여 부드러운 열간압연에 기여.

 

6) 열간압연

  • 재결정 이상의 온도에서 실시함.
  • 슬라브를 얇게 편다.

 

7) 냉간압연

  • 재결정 이하의 온도에서 실시함.
  • 고객이 원하는 두께로 가공하며 가공 경화 현상 발생.

 

8) 소둔

  • 가공 경화된 판재를 다시금 부드럽게 하는 과정.
  • 연신율은 늘리고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는 낮아짐.

 

9) 재단

  • 슬리터, 절단기 등(이차전지 공부하신 분들은 익숙한 단어죠? ㅎㅎ)을 이용하여 고객이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
  • 판재(Sheet & Plate), 환절판(Circled Sheet), 코일(Coiled Sheet), 밴드(Band)

 

4. C.C 공정

 

 

원료 -> 용해 -> 주조 -> 소둔/균질 -> 냉간압연 -> 세척 -> 교정 -> 재단 -> 포장

 

1) 원료

  • 보크사이트에서 추출, 제조해서 들여온 잉곳이나 재활용 위한 스크랩 사용.

 

2) 용해

  • 잉곳, 스크랩을 반사로에 넣고 녹이고 청정화 시키는 공정.

 

3) 주조

  • 회전하는 상-하 Roll 틈에 연속적으로 주입하여 두꺼운 코일 만듦.

 

4) 소둔/균질

  •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 가열.
  • 연신율은 올리고 인장강도, 항복강도는 낮추는 공정.

 

5) 냉간 압연

  • 재결정 이하의 온도에서 실시함.
  • 고객이 원하는 두께로 가공하며 가공 경화 현상 발생.

 

6) 세척

  • 표면의 압연유와 기타 이물질을 세척하는 공정.

 

7) 교정

  • 교정 롤에서 장력을 가해 형상을 평평하게 만들어 평판도, 직각도를 개선.

 

8) 재단

  • 슬리터, 절단기 등 을 이용하여 고객이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
  • 판재(Sheet & Plate), 환절판(Circled Sheet), 코일(Coiled Sheet), 밴드(Band)

 

 

왼쪽이 D.C / 오른쪽이 C.C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