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1 Page) :: 킹제적 자유
반응형

https://invezz.com/news/2022/01/21/this-mining-stock-will-outperform-the-sp-500-in-2022/

 

This mining stock will outperform the S&P 500 in 2022

Jim Lebenthal says Cleveland-Cliffs will outperform the benchmark this year. He gave several reasons for his bullish stance on CNBC.

invezz.com

 

경영진들도  평단 20불 선에서 꽉물렸겠네요? ㅎㅎ

 

그때 엄청 사던데 ㅋㅋ

 

믿고 공부하고 추적하며 기다려봅니다 2차 추매 가격이 다와가서 오히려 좋아~

 

GM's $7 billion investment intensifies EV battle with Ford, Tesla | Reuters

 

GM's $7 billion investment intensifies EV battle with Ford, Tesla

General Motors will invest $7 billion in Michigan, much of it aimed at boosting production of full-size electric pickups.

www.reuters.com

 

이런 전기차로의 대 전환 흐름은 결국..

 

냉연강판의 소비 촉진과 연계 되겠죠? ㅎㅎ

 

싹 다 전기차 사고 잘 팔리길~

 

 

반응형
반응형

SK에코플랜트, 베트남 250MW 규모 지붕태양광 사업 본격 착수 (naver.com)

 

SK에코플랜트, 베트남 250MW 규모 지붕태양광 사업 본격 착수

SK에코플랜트가 베트남에서 현지 지붕태양광(Roof Top Solar) 전문 기업 나미솔라(Nami Solar)와 손잡고 4년간 총 2억달러를 투자해 250MW 규모의 지붕태양광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지붕태양

n.news.naver.com

 

 

韓 발전업계 새 먹거리, '돈되는 쓰레기' WtE를 아시나요? (naver.com)

 

韓 발전업계 새 먹거리, '돈되는 쓰레기' WtE를 아시나요?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인 발전원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폐자원 에너지화(WtE) 플랜트 시장이 급부상하고 있다. WtE 플랜트는 산업현장이나 가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가연성 폐

n.news.naver.com

 

반응형
반응형

실적ㅎㅎㅎ

아직 역대 최대 soc 예산 집행도 하지 않았다구

게다가 1분기는 비수기라구

반응형
반응형

1. 급락 원인 기사.

 

  • 한 중소 철강 회사 CEO가 철강 수요에 대해 과잉이고 내년엔 축소할 것 같다고 코멘트를 했다.
  • 그 때문에 뉴코, clf 등등 다 덩달아 빠져 버렸다. 아오.. ㅠ
  • 스텔코는 매출의 75%가 캐나다 내수용이고 25%만 수출인데 미국 철강 회사들의 주가가 너무 과도하게 반응한 건 아닌가 싶다.
  • 2021년에 돈 많이 벌어서 자사주 산다는데.. 주주가치 극대화를 싼 값에 하려는 건 아니겠지? 

 

https://seekingalpha.com/news/3790415-steel-producers-plunge-after-stelco-ceo-warns-of-oversu pply-weak-demand

 

https://seekingalpha.com/article/4477381-stelco-holdings-trading-at-just-2x-earnings-is-aggressi vely-buying-back-stock

 

2. CLF 종 토방 관련 반응 

 

내년에도 핫한 전기 신차들이 많은데.. 기대 됩니다.

 

  • 무슨 종 토방이냐.. 하겠지만 네이버 종 토방보다는 수준이 좀 높은 것 같다? ㅋㅋㅋ
  • 한국에서 미국 주식하는 것이기에 정보에 있어 열 위 해 가끔 종 토방 들러서 좋은 글 있나 찾아보곤 합니다.
  • 2020년, 2021년 철강 회사들이 돈을 많이 벌었던 것은.. 스폿 가격의 급등으로 인함인데.
  • 문제는 2021년 스폿이 피크를 찍고 많이 빠졌다.
  • 그러나 이전 포스팅에서 언급한 바 있듯 장기 계약 단가는 상당히 오를 것이라 전망하는데 이는 회사에 현금흐름이 구조적으로 좋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전전 포스팅: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75

  • 중국은 지금 다시 돈 풀고 경기 부양 모드로 들어가던데 그로 인해 글로벌 철광석 가격도 오를 테고 이는 제철화 사의 판가 상승으로도 이어질 듯.
  • 45%가 연간 계약 물량인데 얼마에 체결되는지는 다음 10-k를 분석해보면 알 수 있겠지.. 다음 보고서에서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항목

 

 

3. Comment

 

 

  • 그럼에도 긍정적인 소식도 많은 것이.. 자동차 수요, 인프라 법안 등 글로 벌리 철강 수요는 증가할 거 같고 또한 관세로 미국 내 생산 철강에서도 가점이 붙는다.
  • 19.5불이 저점이라 생각했건만 더 빠져버렸네.. 다음 저점은 14불 정도로 잡고 대응해야겠다.
  • 19.5불에 꽤 많은 수량을 추매 했다. 다음 물량을 위해 현금을 남겨 둬야 할 듯.

 

 

 

 

자동차·조선 날개 단 철강업계, 올해도 고공비행 : 네이버 뉴스 (naver.com)

 

반응형
반응형

[생각정리]탱커시황관련_뉴스(올해는 반전?)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제로마진'으로 떨어진 VLCC 운임...韓조선 탱커선 발주 돌아올까 (naver.com)

반응형
반응형

 

<Comment>

 

 

1. 수주 잔고 1.7년

  • 2025년까지 LNG 독에 기 수주되어 가득 찼고 벌써부터 2026년 수주 진행 중.
  • 해당 물량은 올해 수주 받는 것으로 파악.
  • 이렇게 전방 산업의 업무 일감은 계속 늘어가는 와중 보냉재는 조선 공정 중 후단에 위치하기에 아직 한국카본이나 동성화인텍에 주문이 안 들어가서 수주 잔고가 1.7년으로 명시한 것으로 추정.
  • 그러나 프로세스가 진행됨에 따라 동성이든 한카든 보냉재 발주는 필수이기에 추가 수주 잔고 늘어날 것으로 예상.
  • 따라서 매출액도 2022년까지는 저의 예상과 거의 동일하지만 2023년부터는 많이 벌어지는데 보냉재를 이미 수주했다고 가정하고 계산했냐 안했냐의 차이로 보임.
  • 보냉재는 한국카본, 동성화인텍 발 주문 선택지 밖에 없기에 이전의 제 추정이 크게 무리가 없다고 판단.

 

2. 재고 관련

  • 지난번 주담 통화 시 원재료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가격에 계약해 뒀다고 했음.
  • 이 부분을 여전히 잘 지켜낸다면 생산에 필요한 재고 확보에 크게 문제는 없을 듯.

 

3. 종합 소재 기업

  • 애널리스트의 의견에 굉장히 동감한 부분.. 아직 매출 비중이 너무 작아요 ㅠ
  • 그럼에도 지난번 글에서 햇수 별 수주 내역과 금액을 비교했는데 2021년에 급증하고 있는 추세.
  • 또한 대규모 해상 풍력 단지 조성이 다가오는데.. 2030년까지 14GW 였던가? 풍력 발전 목표치에 아직 10%도 달성 못한 현상황.
  • 따라서 풍력발 대규모 발주에 동사의 블레이드 복합소재가 얼마나 고객사들에게 어필이 될지 지켜봐야 하는 상황.
  • 이게 된다면 멀티플 점프업이 확실시될 듯..

<이전 포스팅>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56?category=1018113 

 

 

4. 추가.

  • 과거 이력을 보면 휴먼 컴퍼지트라고 전북 군산에 중소기업에 납품했던 이력이 2번 있었는데 이번 풍력 단지 조성에 국내 밸류 체인을 활용한다면 REC 가중치를 더 준다고 정부에서 공언함.
  • 휴먼 컴퍼지트에 한국카본과의 협력 관계나 이번의 발주 물량 등 여러 질문을 메일 보낸 바 있으나 읽씹 당한 듯 ㅠ 아쉽..
  • 관련은 휴먼 컴퍼지트와의 협력, 타 신규 고객사 확보 등 블레이드 발 발주 물량이 얼마나 나오냐에 따라 달렸다.
반응형
반응형

갖다 놓자 말자 빨리 사라진다는 글..

 

70불 대에서 들어갔는데 사실 좀 비싸긴 했었죠 이전 포스팅에서도 언급했었지만.

 

<전 포스팅>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category/%EC%85%80%EC%8B%9C%EC%9A%B0%EC%8A%A4%ED%99%80%EB%94%A9%EC%8A%A4%28CELH%29

 

다만 좀 더 천천히 들어갔다면 마음이 굉장히 푸근했을 텐데 라는 아쉬움이 ㅠㅠ

 

지금은 PER 196 정도로 빠졌네요 EPS 성장은 올해 100% 정도가 기대되는데 PEG 기준 2가 나옵니다.

아직도 여전히 비싸단 점은 있고 또한 성장세를 입증하지 못한다면 넷플릭스처럼 될 수도 있겠죠? ㄷㄷ

 

저는 성장세 자체에는 의심이 없지만 원자재 와 물류 비로 매출액에선 숫자가 잘 나와도 영업 비용 때문에 순익 단에서 손상이 좀 있을 거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좀 더 천천히 보수적으로 매수해야죠 ㅎㅎ

지금 한.. 60%? 65% 정도 산 거같은데 아유 30%면 정말 마음이 푸근했을 텐데 손가락을 뿐 지르던가 해야겠네요 ㅋㅋ

 

아래에는 좋은 소식들 핫한 소식들 긁어온 거 포스팅 했습니다

 

 

 

https://www.amazon.com/Best-Sellers-Grocery-Gourmet-Food-Bottled-Beverages-Water-Drink -Mixes/zgbs/grocery/14808787011/ref=zg_bs_nav_gro_2_16310231

 

아마존 내 Beverage 부분 1위. 익숙한 게토레이, 몬스터,바디 아머 등이 보이네요

 

 

네슬레와 인수 썰도 가끔 있나봅니다. 네슬레는 차 위주로 사업하니 신사업으로 고려해 볼 수 있겠네요.

 

Z 세대는 레드불 아닌 셀시우스를 마신다는 이야기

 

킴 카다시안의 홍보

 

유명한 사람인가,,? 잘 은 모르지만 ㅎㅎ BURN MORE CALORIES 눈에 띄네요 온더고~!

 

Negative Calorie ㅎㅎ

 

외연 확장에 힘 쓰는 중.. 아직 미국/캐나다 원 툴이지만 미국에서 유행하는건 시간을 두고 전 세계로 퍼지기에 ㅎㅎ

 

좋은 소식들 모아둔 글

http://nebula.wsimg.com/08fcd9af2a4440b2d0fd84a33150a3de?AccessKeyId=B2252E193022D9A21C5F&disposition=0&alloworigin=1 

 

반응형
반응형

1. 현재 상황

 

1) 미국-우크라이나 vs 러시아 충돌

  • 현재 Lng 가격을 급등시키는 요인.
  • 갈등으로 lng 가격의 상승은 반대급부로 다른 나라들의 생산량 증가 및 매출 확대를 야기함.
  • 이는 해상 운송 LNG의 수요의 증가로 귀결.
  • 갈등이 잘 봉합된다 하더라도 이번에 크게 데인 유럽과 미국 입장에선 러시아에 의존한 Png 보단 해상 운송을 통한 LNG를 더욱 추진하는 방향으로 이끌 것.

 

2) 셰일의 시추

 

“美 내년 산유량 코로나 前 넘어설 것...바이든 녹색정책 무색” - 조선비즈 (chosun.com)

 

  • 러시아와의 갈등이 LNG 가격에 크게 문제를 야기해 시추를 바이든 정부 들어서 증가한 것으로 보이지만..
  • 실제로는 그 전부터 증가했으며 요 근래 가격 급등을 계기로 실제로 더욱 박차를 가하는 요즘 모습.
  • SOx 나 NOx 의 경우에선 기존의 석유, 석탄에 비해 압도적으로 줄어드나 탄소의 경우 기존 화석 연료와 비교 시 30% 정도밖에 줄어들지 않는다는 단점.
  • 그럼에도 시추를 늘릴 수 밖에 없는 것은 그나마 레거시 연료 중에서는 친환경에 속해 ESG 테마에 부합하고
  • 원자재의 상승을 잡는다면 인플레이션을 뿌리부터 해결해 낼 수 있는 방법이고
  •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인프라법안은 작금의 사태를 더욱 강화시킬 것이기에 원자재 가격의 안정은 필수임.
  • 따라서 바이든 정부의 입장에선 셰일 시추 리그의 증가를 허용할 수밖에 없는 입장.    

출처:&amp;amp;nbsp;조선/유가/탱커 업황 추적 - 2022.01...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2. 나의 생각

 

 

  • PNG의 위험성(?)에 대해 그 누구보다도 끔찍히 겪은 미국과 유럽이기에 해상 운송 LNG의 중요성은 뼈저리게 느끼고 있음.
  • 선박의 추진 연료로서 LNG는 과도기적인 연소 물질로 보여 선사들이 집중 투자하지 않을 계획도 있다고 생각함.

     -> 물론 이것은 맞을수도? 틀릴 수도 있는 반반 게임 같음.

  • 그로 인해 DF 엔진에 집중하는 회사보다는 글로벌적으로 LNG의 수요가 증가하는 LNG 발전, 난방용 LNG 그리고 좀 더 나아가 부생수소 추출 LNG와 같은 부분에 집중하는 것이 맞다고 판단.
  • 해상운송 LNG의 업황이 좋아질 것이 예상되고 이에 따라 LNG SHIPPING 밸류체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

 

3. 해상 운송 LNG 밸류체인

 

  • 우선적으로 선박의 발주가 필수. IMO 발 여러 규제로 항속의 감속이 야기되고 이로인해 늘어나는 물동량에 반해 운송 효율은 줄어들기에 더 많은 선단의 구성을 요함.
  • 따라서 선박의 발주가 많아 질 것으로 판단하고 선박의 구성에 따라 전반적으로 수혜가 기대됨.

출처:&nbsp;한국경제신문, 2022년 1월 22일 투자 인..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 외판을 담당하는 철강: 포스코, 동국제강
  • DF 엔진: 그나마 HSD 엔진
  • 선내 각종 장비: 레이더나 항해 장비로 유명한 JRC라던지.. 엔진으로 유명한 바질라, 만.. 가스 컴프레서.. 밸브와 제어 장비들.. 등 사실 이 부분은 국산화가 거의 없으므로 국내에선 투자할 것이 없다고 판단.
  • 선내 혈류를 담당해 줄 파이프: 철강회사
  • 피팅 장비류: 태광, 성광, 하이록
  • LNG: 멤브레인은 GTT로 프랑스 회사고.. 한국에선 GTT를 감싸 보냉해주는 한국카본, 동성화인텍
  • Ballast Treatment 장치: 다원시스가 하는 걸로 아는데 정확한 매출 구성은 확인해 봐 야..
  • Sewage Treatment: 한국에선 세진중공업 자회사인 일승이 잘함.
  • 그 외 공조 장치는 하이에어 코리아 (메인은 스웨덴의 사브르)
  • Inert Gas Generator 또한 외국 회사가..
  • 각 종 제어 설비는 미국회사인 Rockwell이나 Honeywell 이 잘하고 독일 쪽으론 Azbil, Simense가 잘함.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