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34 Page) :: 킹제적 자유
반응형

0. 잡설

 

요즘 국채금리 급등, 금리 인상 등으로 고 멀티플 회사들이 좀 힘들죠?

 

저도 하이브랑 소량 들고 있던 디어유 자리 무너질 때 손절했었습니다. ㅠ

그러나.. 그와 별개로 회사가 잘하는지는 지속적으로 체크해야 다시금 매수할 수 있겠죠? 애초에 회사의 BM이 마음에 들어 공부를 시작했었으니깐요. ㅎ

 

변명하자면 바보같이 손절가보다 더 높은 가격에 다시 들어가냐? 가 아니라 좀 더 확신이 생겼을 때 다시 들어간다.. 타 종목의 업사이드에 비해 디어유가 더 좋다 확신에 찰 때 재 진입한다고 보시면 될 거 같네요.

 

21년에 이어 22년 또한 엔터는 한국시장에서 주요 테마 중 하나가 될 거라 판단하고 있기도 하고요.

언제든 다시 들어가기 위해서 꾸준한 트레킹은 필수라 생각하며 글 써 봅니다~

 

--------------------------------------------------------------------------------------------

 

1. 꾸준히 증가하는 버블 참가 아티스트 및 운동선수들

 

- 무슨 자회사 에스엠보다 시총이 더 높아? 말도 안 돼 라고 판단할 수도 있지만..

- IPO 당시 제시한 청사진과 작금이 이런 회사의 방향이 합리화시켜준다고 생각합니다. 에스엠의 아티스트는 물론이거니와 2대 주주인 JYP의 아티스트까지도 파이가 넓혀진 채로 시작했죠?

- 그리고 계속해서 증가 중인 버블의 유명인들.. 차 후 해외의 유명인들까지 끌어 올 수 있다면 업사이드가 또 한 번 열리지 않을까 싶네요.

 

-> 신규: 10CM, 김연경, 양효진, 최지만, 김소정, 김수지, 제이미

 

https://newsis.com/view/?id=NISX20211230_0001707385&cID=10601&pID=10600

http://www.celuvmedia.com/article.php?aid=1641437448408505007

https://www.news1.kr/articles/?4551875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10515380185175

http://www.rpm9.com/news/article.html?id=20220110090005

 

 

2. 구글에 이어 애플까지 수익성 개선

 

- 구글이 기존 30%에서 15%로 내렸고.. 애플은 아직 정확한 인하 비율은 나오지 않았지만 적어도 30%보단 내리니깐 수익성에서 개선도 분명할 것이고요.

- 기사에 따르면 버블 구독층의 70%가 아이폰 유저라고 하는데 구글의 수수료 인하 때 보다 더 많이 개선되겠네요!

-> 아티스트의 주된 팬덤이 10~20대 여성 유저임을 감안하면 아이폰인 것은 당연하겠네요 ㅎㅎ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945846632197064&mediaCodeNo=257&OutLnkChk=Y

 

 

3. 수익성 개선 계산

 

- 버블을 통해 발생한 구독료에서 30%는 기획사가 가져가고 남은 70%를 디어유가 매출로 인식.

- 여기서 30%를 인앱 수수료로 구글, 애플로 영업 수수료 지출.

 

<지난 포스팅에 언급한 바 있습니다>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24?category=1018242

 

 

1) 지난번 계산부터 다시 정리.

 

 

- 2021년 평균 구독자: 매출액 기준 120만 / 영익 기준 110~120만 추정.

- 2022년 평균 구독자: 매출액 기준 200~210만 / 영익 기준 210~220만 추정.

 

 

2) 인앱 수수료 개선 이후. (영업이익 베이스)

 

 

- 2022년 컨센서스는 구독자 190~200만에 달성함. 그러나 이 값은 인앱 수수료 변경 반영 전임.

- 인앱 수수료 변경 감안한다면

-> 매출액 기준 200~210만 => 영업이익 302~318억으로 0~6% 증가

-> 영업이익 기준 210만~220만 => 영업 이익 318~333억으로 6~11% 증가

 

 

 

4. 밸류에이션

 

- 구독자 수를 상당히 공격적으로 잡았으나 컨센 대비 증가율은 낮춤.

- 저 증가세를 유지해줘야 3년 후에 어느 정도 받아들일 만한 가격으로 떨어지는 것 같음.

- 추가 알파로 기대해볼 만한 것은 1인 1 구독이 아니라 1인 다수 구독으로 ARPU가 증가할 가능성.

- 이 모든 것은 다음 분기 보고서가 나오고 다시금 계산해봐야 좀 더 명확 해 질듯.

- 중국의 한한령이 정치적 이슈로 생각보다 길어질 것 같고 미국과의 분쟁 지속으로 안드로이드 앱의 허용이 생각보다 늦어질 확률이 크다 생각함.

-> 따라서 기사에서 제시한 22년 40~50만의 중국 안드로이드 유저 유입은 가능성이 낮아서 22년 구독자 증가는 컨센보다 낮을 가능성이 크다 생각함.

 

5. 결론

 

1) 비록 무형 자산 베이스일지라도 고정비가 있기에 구독자 수에 따라 영업 이익은 레버리지로 증가한다.

2) 구글의 인앱 수수료는 15% 확정 났지만 애플은 아직 미정이므로 저 수치보단 보수적으로 볼 필요 있다.

3) 이 모든 것의 전제는 콘셉트에 맞게 구독자 수가 잘 증가함에 따라 달려있다.

4) 지금처럼 혹은 지금보다 더 강력한 아티스트 등 IP 확보가 주요한 핵심이다.

5) 높은 구독 유지율이 지속 가능하도록 아티스트들이 힘써 줘야 한다.

 

 

반응형
반응형

<POINT>

 

1. 신공장 가동 효율화 

2. 늘어난 케파에 따라 증가한 수주

3. 증가한 고정비 공장 가동 초기, 늘어난 직원수로 인한 인건비, 성과급

4. GNC발 해외 물량 증가

 

=> OCF / FCF 증가

 

<결론>

1. 2022년 영업레버리지 기대

2. 2020년 코로나 급 PER 멀티플로 업 레이팅 기대

3. 늘어난 자산에 따라 증대 가능한 PBR 멀티플

 

반응형
반응형

요즘 제 미국 종목 중 제일 효자죠 ㅎㅎ 앞으로도 너무 좋을 것 같아서 기대 엄청하고 있습니다.

과도한 장밋빛은 경계해야 함이지만 아직까지 과도해지려면 아직 한참 남았다고 판단합니다.

그리고 한국 증권사에선 이 회사를 아직 철강회사로 포함조차 시켜주지 않네요..

 

<과거 포스팅>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27?category=1018165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19?category=1018165 

 

1. 합병 이력

 

- 제 블로그 글을 보셨다면 다 아실 내용..

 

2. 수익의 급증

 

- 작년에 철강 현물가의 급등(무려 3배 ㄷㄷ)으로 영업 레버리지 발생했다는 내용

 

- 그래서 EBITDA가 미친 듯이 날았다는 내용

 

- 여기까지도 저의 블로그 글 보면 다 아실 내용 ㅎㅎ

 

3. 그래서 어쩔?

- 그래서 철강회사가 돈 많이 번 건 알겠어. 그런데 시클리컬을 누가 PER 보고 투자하나? ㅡㅡ

-> 시클리컬인데 최고 피크에선 당연히 PER이 낮지;;; 피크아웃 아냐?

-> 재무 분석글 보면 P/OCF 활용

-> 인수가 완료된 다음 보고서에선 PBR도 추가 활용해 볼 계획

 

 

 

- 또한 지금의 순익 증가가 끝이 아님.

-> 19년 500불 미만에서 계약한 장기 계약 물량들이 1000불에서 20% 할증받아 800불로만 해도 장기 물량에 수혜는 최소 60% 가격 증가를 가져옴

-> 그러나 이것은 500 -> 800 기준이고.. 실제로 500불보다 미만인 가격에서 산업의 매크로를 본다면 20%나 할증받을 리 없다고 판단되어 장기 계약 물량의 마진은 더 높을 것으로 예상.

-> 현물가 또한 1000$이면 코로나 이전 대비 2배 가격.

 

- 현물가도 과거보다 높지만 21년 대비 일정 부분 빠진 것은 장기 고정 계약 물량이 충분히 커버하고도 남을 듯

-> 철강 가격이 빠질 때 이 물량이 하방을 또 받쳐주겠죠?

 

 

 

키움증권

 

4. 철강 관련 매크로

 

- 차량용 반도체 이슈로 신차를 계속 못 만들어서 중고차 가격이 높았죠? 22년부터 서서히 풀린다는 전망이 많고 또 전기차로의 전환이 대세죠? 전기차는 내연이든 자동차 프레임은 냉연 강판으로 만드는데 21년에 CLF 매출에서 차랑용 냉연강판이 가장 컸습니다. 인플레 시대에 맞게 철판 가격을 잘 전가만 하면 될 듯하네요 ㅎ

 

- BBB법안도 풍력이나 여타 부분에서 철강의 수요를 야기하는 요소가 있지만 이 법안 말고도 기존에 바이든의 건축, 건설 인프라 법안은 진작 통과했다고 과거 CLF 관련 포스팅에 언급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 전역에서 뚝딱뚝딱하면서 야기하는 철강 수요도 이제 시작일 거 구요.

 

- 철 스크랩과 광산을 가지고 있는 동사는 타 철강 회사에 원자재를 납품함으로써 또 한 번 혜택을 볼 거고요.

 

- 고로가 주력인 중국 석탄은 탈탄소로 인해 규제를 심하게 받고 있는 데다 바이든이 "더러운 중국 철강 쓰지 말자"라고 강한 워딩을 했던 바 있죠. 이는 미국 내 자체 제강 수요를 우선적으로 다 소모하고 남는 파이는 수입으로 해결하는 방향으로도 흘러가지 않을까 합니다.

 

"더러운 중국산 철강 제한" 미국, EU와 함께 견제 나서 | SBS 뉴스

 

5. 철강 관련 트렌드

 

- 스크랩의 중요성: 석탄 활용한 고로에서 철광석을 철강으로 바꾸는 것은 ESG 테마에 역행하는 것이라 선진국 내에선 퇴출 중. 반면 전기로는 고철 같은 철 스크랩을 녹여 재활용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전기는 친환경 기반으로 생성된 것이 늘고 있는 추세라 ESG 테마에 알맞다고 판단.

 

- 따라서 아르셀로미탈 등 대부분의 유럽, 미국 철강 사는 전기로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미국 내 고로 주력인 회사의 주가는 바닥으로..

 

- 반면 중국의 경우 석탄 발전으로 많이 생산해왔는데 21년 말부터 정부에서 철강 생산량 규제, 석탄 발전 규제 등 탄소에 대해 엄청난 규제를 가하는 중.

 

- 포스코 또한 석탄의 비중이 큰 데 유럽의 탄소 국경세가 실제로 적용되면 제품 가격이 급등하고 수출에도 제약이 클 것으로 판단해 대비하는 중.

 

- CLF는 철 스크랩 회사의 인수로 자사의 제강 시스템을 수직 계열화해 안정적인 원재료 수급 및 친환경 트렌드에 맞는 스크랩 판매까지 덤으로 획득.

 

6. 내부자 매수

 

- 경영진의 행보를 보면.. 20~21불에서 왜 미친 듯이 내부자 매수를 했는지 이해가 갑니다. 최소 6개월 동안 못 내다 파는데 말이죠. 

 

- 3년간 매수 물량 4.032M. 공시로 확인 가능한 것을 보자면..

 

-> 20년 1분기는 다들 아시겠지만 코로나로 인한 급락.. 그 때문에 경영진들이 자사주 저가 줍줍. 물량은 1.07M.

-> 그 당시 4불 라인에서 한번 크게 매수하고 13불에서 다시 매수. 몹시 부럼 ㅠㅠ

-> 가장 많이 매수한 것은 21년 4분기. 물량은 1.61M. 공시로 알려진 가격은 19.7~21.8불.

-> CEO, CFO, EVP, Director 등 직책도 물량도 다양. CEO가 제일 많이 삼.

-> 오잉? 20년 1분기와 비교했을 때.. 4불 기준 5배 / 13불 기준 60%나 올랐는데 내부자 매수를 하네? 그것도 3년 내 최대 물량을?

-> 판단은 각자 하는 것이지만 저는 굉장히 긍정적으로 보는.. ㅎㅎ 

 

- 3년간 매도 물량 0.79M. 공시로 확인 가능한 것을 보자면..

 

-> 19년 1분기에 0.13M, 가격은 10불 선. 주인공은 Susan Miranda Green으로 직책은 Director.

-> 이 아줌마 21년 5월에 물량 0.18M을 20.3불로 또 파셨음.

-> 21년 2분기에 0.66M, 가격은 18~25불 선, 8월에 25불로 급증했는데 매도했나 봄.

-> 앞서 말한 수잔 아줌마 외 John.T.Baldwin 이 분이 0.128M 23.38불로 매도.

 

 

7. 결론

 

- 회사는 친환경 트렌드에 맞는 철강 생산 부분으로 케파를 확장하고 있고, 친환경 철강의 수요처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며, 그에 따라 EBITDA는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 예상됨

- 무엇보다도 이를 잘 아는 경영진은 21년에 매도 물량보다 2배를 더 샀음. 

 

https://www.fool.com/investing/2022/01/12/why-cleveland-cliffs-rose-495-in-2021/

 

Why Cleveland-Cliffs Rose 49.5% in 2021 | The Motley Fool

The transformed steelmaker rose on the back of soaring steel prices amid a global shortage last year.

www.fool.com

https://news.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2110121436191620e8b8a793f7_1/article.html?md=20211012144027_S 

 

북미 최대 철강사 클리블랜드-클리프, 철 스크랩 사업 진출

북미 최대의 철강 생산업체인 클리블랜드-클리프(Cleveland-Cliffs)는 금속 재활용 업체인 철가공트레이딩 유한공사를 7억7500만 달러에 인수했다고 11일(현지 시간) 발표했다. 이 거래로 인해 클리블

news.g-enews.com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한국카본에 관한 이야기는 아니지만.. 한국 조선에 대한 짧은 영상을 공유해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ws7HFt-qSo 

 

조선 시장을 세계 양분하는 한국과 중국

 

중국은 아직 멀었습니다 ㅎㅎ

10년 전에도 지금도요

 

국뽕 차오르네요!!

 

직원들 인건비 복지만 좀 더 챙겨주면 참 좋겠다는.. 조선소 진짜 밤낮없이 머리 위로 엄청난 사이즈의 철 판때기나 중량물들이 훅훅 날아다니는 환경인데 ㅠ

 

 

 

 

반응형
반응형

회사에 대해 투자하고 있고 여전히 공부 중입니다

 

 

<클라리티: 색소, 제모, 피부 재생, 주름>

 

다재다능 그 자체네요 ㅎㅎ

고통도 타사 대비 덜하다 하시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8os6pZ9wFMw 

 

<지니어스: 피부 리프팅>

 

한국에서 제일 잘 나가는 리프팅 장비 지니어스입니다 (지극히 주관적 ㅋㅋ)

유튜버 민가든 님도 좋아하시네요~

 

https://youtu.be/Xp6 cxuBS494

 

 

<아큐 핏: 지방 감소>

 

21년부터 준비해서.. 타임스퀘어에 광고까지 했던 그 아이템!!

22년 루트로닉의 게임 체인져가 돼주길 바랍니다 

아큐 핏 기대되네요 미국 형 누님들 많이들 이용해주세요~

 

 

 

중견 만 리에서 촬영했던 좋은 영상도 발견해서 공유해봅니다 ㅎㅎ

기술적 해자를 갖추게 된 배경에 대해 일반인 눈높이에서 친절히 잘 설명해주네요!

왜 진즉 못 봤던 거지 ㅠ

 

https://www.youtube.com/watch?v=px2iqNl1u_I 

 

반응형
반응형

유진 투자 증권에서 좋은 정보 많이 보내주시네요.

 

다시 한번 읽고 스크랩 용도로..

 

<블룸버그 자료>

수소 전략을 가진 국가의 수는 2021년에 두 배 증가하여 총 26개국입니다.
전기와 전기를 사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기계인 68.8GW(기가와트)의 전기 분해기를 구축합니다.
물 -- 2030년까지. 전략을 발표한 대부분의 국가는 유럽에 있으며, 이는
수소. 스웨덴은 2021년 11월 25일에 수소 전략을 발표한 가장 최근의 국가입니다.

 

<Cummins와 Sinopec, 중국 시장을 위한 녹색 수소 JV 설립>

 

미국 다국적 에너지 회사인 Cummins와 China Petromechanical Corporation(Sinopec)이 중국 전역에서 비용을 줄이고

 

녹색 수소의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합작 투자 회사를 설립했습니다.

성명서에 따르면 새로운 합작 투자 회사인 Cummins Enze는 중국의 수소 에너지 산업 생태 기반인 Foshan에 녹색 수소 제조 공장을 건설하는 4,700만 달러 투자로 중국 사업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포산 공장은 2023년 완공되면 연간 500MW의 녹색 수소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탈탄소화 및 기후 변화 완화에 녹색 수소의 사용이 예상되는 수요 증가에 따라 향후 5년 동안 생산량이 확대될 것입니다. 강하게 하다. Cummins Enze는 이 공장에서 연간 1GW의 녹색 수소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Cummins는 합작 투자를 통해 현재까지 중국에서 21개의 엔진 제조 현장을 포함하여 30개의 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회사와 함께 중국 에너지 시장에서 입지를 확장할 것입니다.

Cummins의 부사장인 Amy Davis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중국의 녹색 수소 수용은 지구를 위한 돌파구이며, Cummins와 Sinopec이 함께 녹색 수소의 잠재력을 깨닫는 것은 우리의 혁신적인 PEM 전해조 시스템을 확장하기 위한 거대한 도약입니다.

https://www.powerengineeringint.com/news/cummins-and-sinopec-form-green-hydrogen-jv-for-chinese-market/

 

Cummins and Sinopec form green hydrogen JV for Chinese market

A new joint venture has been formed by Cummins and Sinopec to reduce the costs and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green hydrogen across China.

www.powerengineeringint.com

 

<Covenant Logistics Group, Inc., Nikola Tre BEV 및 FCEV 50대에 대한 의향서에 서명>

 

피닉스, 2022년 1월 11일 /PRNewswire/ -- 배출 제로 운송 및 에너지 인프라 설루션의 글로벌 리더인 Nikola Corporation(Nasdaq: NKLA)과 최고의 종합 물류 기업인 Covenant Logistics Group, Inc.(Nasdaq: CVLG) 테네시주 채터누가에 본사를 둔 공급업체는 오늘 자사 차량에 50대의 무공해 차량을 추가함으로써 Covenant의 지속 가능성 목표를 달성할 협력을 발표했습니다.

 

Covenant Logistics Group, Inc. Signs Letter of Intent for 50 Nikola Tre BEVs and FCEVs (yahoo.com)

 

Covenant Logistics Group, Inc. Signs Letter of Intent for 50 Nikola Tre BEVs and FCEVs

Nikola Corporation (Nasdaq: NKLA), a global leader in zero-emissions transportation and energy infrastructure solutions, and Covenant Logistics Group, Inc. (Nasdaq: CVLG), a premier total logistics provider based in Chattanooga, Tenn., announced today a co

finance.yahoo.com

 

 

<보쉬, 충칭에 기반을 둔 수소 파워트레인 JV를 위한 새로운 기지 착공>

 

보쉬는 2030년에 연료 전지 차량이 세계 연간 신규 상용차 등록의 약 8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보쉬는 중국에서 수소 발전의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충칭에 앞서 언급한 공장을 건설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총 약 360 무(240,000제곱미터) 규모로 2023년 5월 말에 가동될 예정입니다.

 

Bosch Hydrogen Powertrain Systems (Chongqing) Co.,Ltd.는 수소 파워트레인의 R&D 및 생산 및 시장 수요에 대한 보쉬의 이점을 바탕으로 높은 환경 적응성과 안전성을 갖춘 경제성과 지능형 수소 파워트레인 솔루션을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2021년 9월, 보쉬의 수소 동력 모듈로 무장한 수소 연료 자동차가 중국 최초의 트렁크 물류 서비스를 위한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지금까지 보쉬는 70개 이상의 수소 모듈을 생산 및 판매했습니다.

 

https://autonews.gasgoo.com/m/70019403.html

 

 

Bosch breaks ground on new base for Chongqing-based hydrogen powertrain JV

Shanghai (Gasgoo)- Bosch Powertrain Solutions China announced on Dec. 22 it has broken ground on a new facility for Bosch Hydrogen Powertrain Systems (Chongqing) Co.,Ltd. in Chongqing, another significant base to Bosch's electrification strategy. According

autonews.gasgoo.com

https://blog.naver.com/angelpang12/222619471785

 

 

반응형
반응형

오늘 제 종목 중 제일 시원하게 빠지네요 ㅋㅋㅋ 저렴해졌?

성장주 하려면 이 정도 등락쯤이야?? ㄷㄷ

 

비싸 보였는데 매크로 감안해서 좀 더 기다렸다 살 걸 하는 껄무새 껄껄껄..

그래도 분할 매수 중이라 아직 룸은 절반 남았다는 희망이..

 

 

일단 트렌드는 반등 중..

4분기에도 Revenue는 잘 나올 거란 확신이 있는데 물류비나 알루미늄 캔 같은 원자재 이슈가 어떨는지..

3분기 IR 때 아웃소싱 통해서 큰 이슈 없이 잘 컨트롤했다고 하긴 했었다만..

 

반응형
반응형

0. 시작 전 감사 인사 및 잡설

 

요즘 조선 섹터가 주목받고 그중에서도 LNG 매크로가 좋다 보니 주담님 바쁘시고 매번 비슷한 질문받으셨을 텐데 그럼에도 친절히 응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여담이지만.. 보냉재 말고 다른 거 질문하니까 목소리 확 밝아진 느낌 받았네요 ㅋㅋ

 

오늘 또 수주 공시 떴죠? ㅎㅎ 

한조 양이긴 하지만.. 우린 동성화인텍도 고객사니깐요~!

 

여기저기서 수주 폭탄 터지면.. 독은 모자라지고.. 그럼 우리 제품의 단가도? ㅎㅎ

 

1. 주담 통화 내용

 

1) 3분기 보고서 상에서 보냉재 생산 실적을 연환산으로 해본다면 20년 대비 작은데 원인이 무엇인지..? 
a.20년이 이제까지와는 달리 유독 많이 발생함.

r. 20년도가 특이하게 비정상인 건가요?..
a. 그건 아니고.. 과거보다 이미 많이 발생했지만 사천억 넘을 때도 있고 매해 균등은 힘듦. 

2) 20년 매출 대비 21년 3분기까지 부진한데..  4분기에 갑자기 늘어날 수 있는지 이연 될 것인지? 
a. 납품이 연말까지 완료가 된 부분에 한정해서 매출인식, 즉. 납품 날짜에 따라 변동.

3) 보냉재 조선소향 납품 시 카본은 150억 동성화인텍 향으로 22억 대금으로 알고 있는데 변함없는지..? 
a. 20~30억 / 160억(161억)이고 올해 들어서 160억으로 상향됐습니다.


4) 20년들어서부터 신조 단가가 올라가고 있고 빠르면 올해 말부터 서서히 저가수주물량이 걷어내 질 듯한데 한국카본의 납품 당가 상승도 기대해 볼 수 있는지? 
a. 신조단가가 올라가면 동사에도 긍정적 영향. 오르는 신조 단가에 맞게 대체로 유사하게 반영

5) Df선에 lng탱크에 동사 보냉재의 아니라 저렴한 다른 제품으로 쓰는 걸로 아는데 신규 파이가 늘어날 가능성은 있는지? 
a.12월 14일 1721억 공시를 보 면수 송선미 추진 선도 포함되어있음. 
총대수는 11척 -> 다만 판가는 훨씬 적음
마크 3 형식으로도 연료 탱크 보냉재 매출 발생. -> 마크 3 아닌 타사 제품보다는 2~3배 비쌈

6) 육상 lng 탱크로 과거엔 슈 쥬한 이력이 있는데 요 몇 년 짐 잠 한 게 탱크의 증설이 없이 때문인지 가격경쟁력 같은 부분에서 밀린 것인지..?
a. 육상 프로젝트들이 없어서.. 계획이 없음.

7) 정부에서 풍력발전을 밀고 국산화율에 따라 rec가산도 해주는 등 정책으로 강하게 밀고 있는데 동사의 풍력 블래이드 납품 관련해서 새로운 소식은 없는지?
a. 회사에서도 당연히 이 부분 기대 중입니다. 블레이드 기대 중이고.. 수혜가 올 거라 믿는 수준 -> 다만 구체화된 수치를 제시할 단계는 아직 아님.

8)

q. 유리섬유의 경우 건설 토목 향으로 용도가 다양한 걸로 아는데 유리섬유 탄소섬유를 kcc lx하우시스와 같은 업체랑 계약하는데? 
a. lx로 주로 직납 합니다. kcc의 경우 자체적으로 제작함.

r. 시멘트 비롯 건자재들 단가 인상 중인데.. 동사도 어떤 이야기 나오고 있나요?
a. 판가 인상이 기대되는 부분이고.. 청주 공장 증설에 따라 매출도 증가 중입니다.


9)

q. 건축 시행령 강화로 불연 단열재가 이슈인데 한국 신소재에서 유리섬유와 알루미늄 포일의 합지로 만든 건축 단열시트가 해당되나요?
a. 불연 단열재 소재로 gp-글라스 페이퍼 납품 중 / 21년 결산해봐야 알겠지만 이미 전년 대비 매출은 증가했다고 판단됩니다. 

 

 

 

2. DF SHIP LNG 탱크 관련 

 

1) 탱크 물량 수주

- 기존에는 동성화인텍에서 매출이 많이 발생하던 구조였음.

- 이번에 한국카본도 삼중 발 매출을 시작으로 꾸준히 발생 기대.

-> LNG Carrier 못지않게 LNG Powered Ship 또한 장기 우상향 트렌드임.

-> 이 부분에 동사 또한 진입해서 앞으로 잘 해낼 것 기대 ㅎㅎ

 

2) 납품 단가 유추

- 납품 단가를 추리해보고자... 동성화인텍을 참조해봤는데

-> 대조양이 21년 3월 VLCC 10척 약 11조에 수주 받음.

-> 해당 계약에서 동성화인텍은 396억에 납품 계약. 척 당 39.6억, 약 40억 예상.

-> 그렇다면.. 우리 카본이는 척당 80~120억 기대? ㅎㄷㄷ!!!

-> 이번 삼중 발 11척은.. 880억~1320억 기대? ㅎㅎㅎ

 

동성화인텍, 396억 규모 친환경 LNG 추진선 연료탱크 수주 | Save Internet 뉴데일리 (newdaily.co.kr)

동성화인텍, 대우조선해양 VLCC 'LNG 연료탱크' 또 수주 | Save Internet 뉴데일리 (newdaily.co.kr)

 

 

3. 풍력 블레이드 관련

 

- 아직은 희망이 더 큰 부분.. 나의 꿈과 희망을 그려보자면

-> 좀 더 생각해보자면.. 터빈과 연결되는 것이 블레이드.

-> 터빈 업체에서 신경을 많이 쓸 듯?

-> 이번 서남 해상 풍력 단지에서 우수한 소재임을 인정받아 납품하기 시작한다면?

-> 터빈 업체와 짝짜꿍해 한국 외 시공에도 진입 가능할 수도 있지 않을까?

-> 더 나아가 헬기나 항공기의 소재 등 항공 쪽으로도 점프 업 할 수 있는 계기?

 

=> 주가의 열린 상방을 위해서 기대해보며.. 지속적으로 팔로우 업 해야 할 필요는 있을 듯.

 

한국카본, 해상풍력용 탄소섬유 프리프레그 첫 상용화 (naver.com)

서남해상풍력, 한국카본 생산 탄소섬유 블레이드로 돈다 (hankooki.com)

해상풍력 보급 속도…REC 가중치·전용 입찰 시장 개설 | 서울신문 (seoul.co.kr)

 

 

4. 단열재 관련

 

1) lx 하우시스 - 매출 / 판가

- 매출 및 원재료 가격 증가 중

 

2) lx 하우시스 - 원재료 / 가동률

- PVC: 합성 플라스틱으로 경질 PVC, 연질 PVC로 나뉜다.

-> 경질 PVC: 안정성이 뛰어나 상하수도관, 화학약품 용기, 파이프, 창틀, 새시 등 

-> 연질 PVC:  

- DOTP: 플라스틱의 특성상 가열하면 딱딱해지는데 이때 필요한 게 가소제. 가소제를 첨가하면 유연해져 원하는 형태로 제작 가능.

- MMA(Methyl Methacrylate): 무색투명한 액체인 MMA는 투명성, 내후성이 우수하며, 친환경 소재로 주목받는 아크릴 수지를 시작으로 도료 및 접착제, 섬유 호제 등 수많은 화학 제품의 원재료로 사용

 

=> 유리섬유가 어떤 식으로 납품이 되는지 추적이 필요. 타 원재료 대비 금액이 적어서 별도 기재를 안 한 것인지 아니면 최종 사용처에 해당되는 소재에 통합해 기대한 것인지..

=> 이를 알아내면 청주 공장 케파와 단가에 따라 카본의 매출이 추정 가능 해질 듯.

 

 

 

'안전강화' 건축법 개정 시행… 안타는 건자재 '주목' : 네이버 뉴스 (naver.com)

 

 

 

회사에 확신을 가지게 된 내용이었네요 

 

가즈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