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산업 - 친환경 & 신재생' 카테고리의 글 목록 (9 Page) :: 킹제적 자유
반응형

https://www.windpowerengineering.com/132-mw-south-fork-offshore-wind-project-approved-to-start-construction/

 

 

https://nawindpower.com/utility-submits-proposal-for-2042-mw-of-wind-power

 

 

https://www.cnbc.com/2022/01/19/joe-biden-thinks-congress-can-pass-part-of-build-back-better-act.html

 

 

 

 

 

 

반응형
반응형

깊이가 엄청 나신 분들..

 

 

세진중공업 2탄(20220118 주담통화) -..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The Bigger, ..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삼강엠앤티) IR 통화내용_220112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반응형
반응형

도시 광산에 대해 지난번 포스팅에서 언급한 바 있죠?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62

 

버려진 pcb, ram, cpu를 비롯 가전기기, 통신서버 장비에서 금속을 캐내 재활용하는 좋은 일을 하시는 분들입니다.

 

환경도 세이브하고 돈도 벌고.. 꿩먹고 알 먹고 인 직업이네요 ㅎㅎ

 

저 또한 혹해서 하고싶은 마음도 들긴 했으나.. 문제는 기술 진입 장벽이 너무 높아서 스승이 있지 않는 한 어렵다고 하시네요ㅠ

 

본업에 충실해야겠습니다~!!

 

영상 길지않으니 한 번쯤 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https://youtu.be/bxRE6zt2tw4

 

반응형
반응형

1. 지정 폐기물 업체의 수익

 

1) 앞서 말했듯 지정 폐기물 처리 단가가 일반폐기물보다 높다.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61

https://www.fnnews.com/news/202002261326195215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19111843796

 

2) 매년 상승 중인 처리 단가: 공급의 제한 + 수요의 증가

  • 지정 폐기물은 14년 이후 20개 유지, 의료 폐기물은 15개로 유지 중.
  • 거기에 폐기물 공급은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늘고 있는 중.

 

 

 

 

2. 폐기물의 처리 방법

 

 

1) 소각

  • 소각은 축소되는 추세.

 

 

2) 매립

  • 폐기물 처리에서 매립 비중은 축소되는 추세. 
  • 그러나 개별 단가는 증가하는 중.

 

3. 재활용

 

1) 재활용 프로세스 및 현황

  • 사람이 많이 필요한 산업.
  • 노무비, 인건비가 많이 필요할 듯.
  • 그럼에도 자원의 재활용으로 자원 절약, 환경 중시는 지켜야 함.

 

 

 

 

2) 업 사이클

  • 버려진 폐기물을 재 활용하여 다시 부가가치가 있는 상품으로 제조하는 것.
  • 반대의 개념은 다운 사이클인데 이때는 탄소가 발생하고 원 폐기물보다 퀄리티가 떨어지는 것을 의미

 

 

3) 도시광산

  • 금속 자원이 폐기물 형태로 소량으로 넓게 양적으로 광산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
  • 2016년 국내 도시광산에서 금 13,500kg 추출.
  • 특히 PCB에서 8600kg, 폐기물에서 4500kg 추출 추정.

 

 

4) 수도권 매립지 공사

  • 매립지 감소와 증가하는 자원화율이 포인트.

 

 

 

반응형
반응형

1. 산업의 특성

 

  • 소위 "더럽다" 고 치부되는 대표적인 님비 산업.
  • 매립의 경우 제한된 땅과 님비 현상으로 신규 매립장 허가 시 주변 주민과 민원에 상당히 시달리고 허가도 어려움.
  • 따라서 신규 매립지 확보가 어려워 의도치 않게 산업 진입 해자가 높음.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 선정 난항... 매립지공사 vs. 지자체 '힘겨루기' (ekn.kr)

CNN이 망신 줬던 '의성 쓰레기산' 명품 생태숲으로 탈바꿈한다 (hankookilbo.com)

 

  • 그로 인해 매립과 처리 단가는 매년 상승 중. 즉 돈이 되는 산업.
  • 즉, 공급은 모자라고 수요는 많아 업체 입장에선 P & Q 모두 이득인 부분.
  • GDP의 증가, 즉 경제 성장에 비례하여 쓰레기 발생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한국의 발전에 폐기물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결과물이고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의료 폐기물 발생도 증가하는 중임.

 

  • ESG의 흐름에서 쓰레기의 재활용, 폐기물의 소각 등 재처리 방법으로 새로운 처리 공법이 대두되는 중.

수도권매립지, 쓰레기로 439만 MWh 전력 생산…30만 명이 14년간 쓸 수 있어 - 파이낸셜뉴스 (fnnews.com)

‘의성 쓰레기산’ 처리 씨아이 에코텍, 폐기물 자원화 잇단 수상 : 100세 시대의 동반자 브리지 경제 (viva100.com)

 

 

 

2. 폐기물의 분류 및 처리

 

폐기물의 분류

 

  • 폐기물 처리 순서

 

 

3. 생활폐기물

 

  • 흔히 가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로 음식물, 일반, 불연성, 연탄재, 대형 폐기물 등이 있음.
  • 생활 폐기물의 경우 매립, 소각보다는 재활용이 높다는 특성이 있음.
  • 대부분 공공 기관, 공공 시설에서 처리함. (64%)
  • 즉 처리 단가는 낮고 가격 협상력에서도 약할 수밖에 없음.
  • 총 폐기물 중 생활계 폐기물은 11.7%

 

  • 자원의 재활용 추세로 생활계, 음식물 계 모두 단순 매립은 줄고 재활용이 느는 추세.
  •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98% 재활용됨.

 

 

4. 사업장 폐기물

 

 

1) 건설 폐기물

  •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 19년 기준 총 사업장 폐기물 중 비중은 50.3%
  • 재활용률은 98.9% 
  • 주 처리 주체는 민간의 영역.
  • 공공의 처리 용량이 많은 생활계 폐기물과는 달리 시장 흐름에 따라 P, Q, C에 따름.

따라서 지정 폐기물 업체의 추이를 잘 살펴야 함.

 

 

 

2) 사업장 배출 시설 계 폐기물

  • 사업장 폐기물로서 지정 폐기물과 건설 폐기물을 제외한 폐기물.
  • 재활용률은 82.6%

 

3) 지정 폐기물

  • 폐유, 폐산 등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거나 의료 폐기물 등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유해한 물질
  • 재활용률은 62.5%

 

 

5. 폐기물 별 처리 단가 

 

 

1) 단가

 

  • 의료 폐기물 > 지정 폐기물 > 생활 폐기물
  • 민간의 영역인 지정 폐기물이 생활 폐기물 금액보다 높음.
  • 진입 장벽 + 늘어나는 수요 + 줄어든 공급 = 처리 단가 상승

 

2) 세부 항목

 

  • 돈되는 건 대부분 소각.
  • 소각으로 발생한 스팀은 재판매해서 또 다른 수익 창출.

 

 

6. 처리 프로세스

 

  • 소각, 에너지화로 자원 재활용.
  • 연료화, 폐유 정제는 폐유를 정제해 다시 활용하는 방안.

 

 

 

다음에는 지정 폐기물 관련해서 좀 더 다뤄보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친환경 쪽으로 늘 좋은 정보 제공해주시는 유진 투자 증권에게 감사를 표합니다~

 

 

기후변화 대응 안 하면 5大 기업 매출 30조 급감 ['빈 수레' 탈탄소 경영을 막아라] (naver.com)

 

기후변화 대응 안 하면 5大 기업 매출 30조 급감 ['빈 수레' 탈탄소 경영을 막아라]

에너지·환경정책 싱크탱크 ‘넥스트’ 분석 철강·반도체·정유·석화·車 등 업종별 온실가스 최다 배출 기업 영업이익률도 최대 24%P↓ 전망 일부 기업 역성장 우려도 나와 탄소중립 기업끼리

n.news.naver.com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919570

 

아시아 최고부호 印암바니,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96조원 투자

(뉴델리=연합뉴스) 김영현 특파원 = 아시아 최고 부호인 인도 무케시 암바니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 회장이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96조원의 천문학적인 금액을 투자하기로 했다. 14일 NDTV 등 인도

n.news.naver.com

 

중국 에너지 대기업의 수소에너지 프로젝트 (2..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중국 에너지 대기업의 수소에너지 프로젝트 (2021년)

지난해 중국의 대형 에너지 및 자동차 기업의 수소에너지분야 진출현황을 정리한다 대상기업 중앙기업 : 中...

blog.naver.com

 

Germany To Dedicate 2% Of Its Land To Wind Power Development - CleanTechnica

 

Germany To Dedicate 2% Of Its Land To Wind Power Development

The new German government is proposing a bold new initiative to dramatically increase onshore wind power in the country by 2030.

cleantechnica.com

 

 

 

반응형
반응형

 

 

1. 첫 번째 기사

 

섬뜩하고 현실적인 기후재앙 시나리오 ‘6도의 멸종’ - 경향신문 (khan.co.kr)

 

 

1) 1도 상승

 

2) 2도 상승

 

3) 3도, 4도 상승

4) 5도, 6도 상승

 

5) 느낀 점

 

환경문제? 그런 거 다 후대에서나 나타날 문제야~ 그렇게 치부해버리기엔 이미 오늘날의 우리도 체감하고 있다. 기사에서 언급한 이상 기수, 더워진 지구로 인해 더욱 강해진 태풍과 폭우량, 전염병, 북극의 빙하가 녹아가며 말라죽어가는 북극곰들.. 안타까운 소식 천지다 ㅠㅠ

 

 

개인적으로 스쿠버도 꽤 즐겨했었는데 바닷속에 이쁘던 산호들이 죽어서 백화현상으로 바뀌어가는 것이 참 슬펐다.

참고로 백화현상이 나타나는 이유가 이 또한 CO2 때문인데, 바다는 지구의 CO2 탱크와 같다. 인간들이 배출해내는 탄소의 절반이 바닷속에 용해가 되어 대기 중에 배출량보다는 덜 남아 있게 되는데 이로 인해 지구의 온난화 속도는 일부 늦춰질지 몰라도 바닷속은 Ph 가 낮아져 산성화가 진행된다. 그리하여 산호가 죽고 일부 어패류들도 피해를 보고 있는 현 상황이다.

참고로 마지막으로 바다에 장비메고 들어간 게 2018년인데.. 지금은 얼마나 더 진행이 됐을지 ㅠㅠ

 

그리고 아름다운 바닷속에 버려져있던 담배꽁초, 어망, 플라스틱 병, 캔 등 여러 쓰레기들도 볼 때마다 풍경 감상의 묘미를 떨어뜨렸을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으로 인한 안타까움을 몸 소 체험했던 바 있다.

 

1도 상승은 이미 달성?했고 2도 달성도 무난히 달성? 할 듯하다. 파리 협약에서 1.5도 한도로 최대한 맞춰보자고 했으나.. 크게는 각국의 얽히고설킨 이해관계, 작게는 나만 아니면 되지 라는 안일한 사람들 등등 쉽지 않아 보인다.

 

2도 상승에서 식량위기를 언급했는데.. 이미 라니냐와 같은 이상 기후로 작황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요 근래 꽤나 자주 일어났었다. 2021년 커피의 원두값은 무슨 빅 테크 기업의 주가 마냥 올랐었고 이와 같은 농산물, 원료의 가격 상승은 원두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전반적으로 발생했다. 이는 음식료 판가의 인상으로 우리 밥상 물가에까지 충격을 주는 나비효과가 되어서 돌아왔다.

 

3도 이상의 상승에선 엄청난 폭염과 많은 환경이 사람이 살기에 부적합해지고 식량 부족은 더욱 심화된다고 한다.

아마.. 이런 환경이 아닐까?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498981 

 

그럼에도 아직까지.. 환경위기? 그거 먼 미래아냐? 내가 좀 버린다고 무슨 문제 생기겠어?라는 인식이 있을 수 있을까..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2010959741

밥상 물가, 내년에도 안 떨어진다 - 파이낸셜뉴스 (fnnews.com)

 

 

2. 두번째 기사

 

 

1) 수소 + 원전

한 손엔 한 손엔 수소, 한 손엔 원전 쥔 프랑스, '탄소중립 리더'로 급부상 (naver.com)

 

2) 느낀 점

원자력이 참.. 계륵과 같은 존재라고 생각한다. 안 하자니.. 당장엔 전력 수요를 못 맞춰서 전 지구적 산업, 농업, 생업이 멈출 지경이고, 그렇다고 원전을 팍팍 밀자니 계속해서 늘어만 가는 핵 폐기물과 혹시나 사고 났을 때의 큰 후폭풍이 걱정이다. 그럼에도 개인적으로는 친환경 발전이 완벽히 대체하기 전까지는 병렬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인간은 전기 없이 할 수 있는 것은 근대에 들어서면서부터 사실상 없어졌다. 먹는 것에서부터 산업 제품까지 전기 없기 할 수 있는 것은 전무하다. 그러므로 안정적인 전기 수요는 필수다.  따라서 친환경 발전이 안전한 궤도에 올라가기까지에는 안전하게 잘 관리하면서 원자력 발전과 LNG+CCUS 는 밑단을 탄탄히 받쳐줘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측면에서 프랑스가 합리적인 판단을 잘하고 있는 것 같다. 이미 그들의 원전 기술과 수소 기술은 세계 최 일류다.

다만 요 근래 원전 관련 안전 이슈가 붉어졌는데 잘 해결해낼 거라 믿는다. 지구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잘 해결해 내야만 한다.

 

https://www.straitstimes.com/world/europe/safety-concerns-raised-at-third-french-nuclear-plant

 

한국도 프랑스가 이뤄내 나가는 업적들을 잘 따라가고, 벤치마킹해가며 성공적인 탈탄소 시스템을 이뤄서 인류의 미래를 밝혔으면 좋겠다.

 

 

3. 세번째 기사

 

1) UAE - 수소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271845?cds=news_edit 

 

2) 느낀 점

과거 수소 산업에 대해 소개할 때 중동의 산유국이 친환경 발전 및 수소 생태계에 몹시 관심이 있고 그들의 기후는 매우 유리하다고 적은 바 있다. 환경은 중동 국가들이 제공하고 기술력의 발휘는 한국이 해내면서 새로운 노동 창출, 가치 창출도 또 하나의 새로운 먹거리를 잘 활용해 친환경 산업에서도 좋은 역량을 나타내는 한국이 되어 미래를 이끌어 나갈 산업에서도 기치를 나타냈으면 좋겠다. 이를 위해서 한국 내부에서부터 수소 산업, 수소 생태계를 잘 육성 해내가며 해외에 어필할 필요가 있겠다.

 

3) 과거 포스팅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33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34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35

 

 

반응형
반응형

2022.01.13 - [한국카본] - 한국 조선의 위엄: Hi-Tech + 고부가 + 신기술 완벽조합

조선업에 대해, 그리고 현대미포조선에 대해 간단히 조사 해보았습니다 : 네이버 카페 (naver.com)

 

조선업에 대한 기본 이해과 기타 개념들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조선업에 대한 기본 이해과 기타 개념들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