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풍력 산업 공부. 당위, 목적, 방향 - 바람개비 돌려서 전기 만들어 봤자 미약하지않나? :: 킹제적 자유
반응형

1. 풍력 산업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

 

1) 탄소 중립의 중요성과 세계적 신재생 트렌드

 

- 탄소 중립: 배출되는 탄소와 흡수되는 탄소의 양이 같아 Zero로 만들겠다는 것. 이를 위해선 당연하겠지만 배출되는 탄소를 줄이고 흡수되는 탄소를 늘려야 함.

 

- 대체 왜 하는 거임?

-> 화석 연료의 연소 등 인간의 활동으로 배출된 CO2와 같은 탄소는 온실 효과를 유발해 지구의 온도 상승을 야기.

-> 각 국의 이상 기후의 원흉으로 지목되고 있고 한국의 경우 30년 전 대비 1.4도 상승했음.

-> 산업화 이전의 온도로 회귀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며 2015. 파리협정에선 2100년까지 온도 상승 제한 목표를 1.5도로 제시한 바 있음.

-> 이를 위해 2030년까지 2010년 대비 탄소배출량을 45% 감소, 2050년엔 탄소 중립을 달성해야 함. 

 

- 결론: 인류의 생존을 위해서라면 신재생으로의 대전환은 막을 수 없는 트렌드.

 

2) 풍력 발전만의 강점

 

- 넓은 활동 무대: 풍력은 설치 면적이 적고 해상의 경우 더더욱 입지면에서 자유로움.

- 먼바다의 강한 해풍으로 증가한 발전량 기대.

- 일자리 창출: 소프트웨어를 위시한 무형자산의 경우 뛰어난 한 사람이 많은 노동을 대체해 수익이 집중되는 반면, 중후 장대 한 유형 자산인 풍력 산업은 많은 노동력이 필요해 일자리 창출을 유발해 미국의 리쇼어링 정책, 한국의 그린 뉴딜 등 정부 입장에서 선호할 여지가 많음.

-> 정부 차원에서 지원하는 프로젝트 많아짐.

 

- 기술 개발로 일명 "가성비"는 좋아지는 중. 

 -> 19년 기준 육상 프로젝트는 그렇게 낮아지지 않은..?

 -> 대안으로 해상 풍력이 각광받는 중.

LCOE: levelized cost of electricity, 균등화 발전비용(전기 발전원별 객관적인 비용을 산출하는 것)

 

- 이와 병행하여 전통 화석 연료에 대한 규제와 세금(탄소세, 탄소배출권)으로 단가 상승.

-> 탄소 유발 자원 및 원자재에 대한 페널티 부과와 나빠지는 여론.

 

3) 수소와의 연계

 

- 레거시 발전 산업의 경우 전력 수요를 예측에 기동/정지 시퀀스를 통해 유휴 전력을 최소화해 경제성을 살림.

- 반면 태양광, 풍력과 같은 신재생 발전은 자연에 기댄 전력 생산이기에 인위적 조절 불가.

-> 마이너스 전력 단가 발생: 코로나와 같은 산업 활동 감소 혹은 심야 시간의 발전 등으로 잉여 전력 발생

https://www.theguardian.com/environment/2020/apr/05/thousands-to-be-paid-for-daytime-green-electricity-use-during-l ockdown 

-> ESS를 활용해 저장 및 필요시 송출: 금번 텍사스 정전 사태 때 ESS 있는 집은 따뜻하게 보냈다고 하더군요.

텍사스 정전에서 불 밝혀주던 소규모 ESS, 국내엔 언제쯤... - 전기신문 (electimes.com)

 

- 개인적으로는 수전 해발 전 등을 통한 수소와의 연계로 인한 시너지를 제일 좋게 보는 중입니다.

무역 환경장벽 속속 등장… 수출 코리아 생존 비법은 '수소 초격차' (sedaily.com)

 

<관련 포스팅>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33?category=1015687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34?category=1015687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35?category=1015687 

 

 

 

 

 

2. 국가 별 정책 및 규제.

 

1) 한국

- 9차 전력 수급 계획에 따르면 신재생 + LNG의 역할 증가.

 

- 현재 모든 신재생 중 풍력을 가장 우대. 또한 해상 풍력의 경우 육상과의 거리에 따라 추가 가산점 부여해 최대 3.7배까지 가중치. 여기에 추가로 국산화율에 따라 또다시 차등을 두는 방안 고려 중.

- 동해가스전과 연계한 해상풍력발전 6GW 조성 목표 등 여러 지역에서 추진 중.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전략 보고 행사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해상풍력 보급 속도 낸다… 민관 TF 가동·전용 입찰 시장 개설 (naver.com)

울산 바다 위에 떠 있는 '바람' 이야기 | 부유식 해상풍력 - YouTube

 

2) 미국

 

- 세계 2위 탄소 배출 국가.

- 바이든 대통령 당선 직후 즉시 파리 기후협약 복귀, 2035년까지 탄소 중립 공약.

- 인프라 법안과 정책을 통한 드라이브.

- 다가오는 조 맨친 형님의 BBB 법안 찬성 가능성 증가.

->BBB법안 내 친환경 / 기후변화 섹터로 5550억 달러로 약  660조 원의 자금 투하 기대.. ㄷㄷ

- 차후 풍력과 수소 등 영역 별 구체적인 투하 자금은 법안 통과 후 알아볼 예정.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38

 

3) 유럽

 

- 2019년 그린딜 정책 공포: 1조 유로(1300~1400조 원)의 공정 전환기금을 바탕으로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 선포.

- 4대 정책 분야: 에너지, 산업, 건축, 수송

-> 에너지에 가장 큰 포커스를 두고 있으며 신재생 발전의 증가를 주요 골자로 함.

-> 수송의 경우 전기, 수소의 역할 기대. 

 

탄소 중립 정책 유럽 VS 미국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4) 일본

- 2030년 10GW, 40년 30~45GW 풍력 발전 목표 제시하며 2050 탄소 중립 목표.

- 얼마 전 경제무역부의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입찰 결과 발표.

- 총 1.7GW 규모.

 

5) 중국

- 30.60 쌍 탄소 전략: 30년까지 탄소배출 증가량을 없애고 6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 선포

- 석탄 화력에 높은 의존: 신재생과 원자력으로 전환 계획.

 

3. 리스크

 

- 탄소 국경조정제도에 대한 대응 필요: 중공업이 많은 한국의 특성상 유럽에 제품 판매 시 추가 비용 지출.

-> 철강, 비철금속 등 원자재의 생산: 이미 유럽, 미국은 전기로로의 전환이 진행 중.

-> 고로의 경우 포스코가 개발 중인 수소환원철에 대한 기술이 필요로 하나 2040년이 상용 목표 인 등 아직은 초기 단계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27?category=1008325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19?category=1008325 

 

- 더 나아가 전통 연료 발전으로 생산한 모든 부분에서 관세의 가능성.

-> 농산품, 공산품 할 거 없이 전방위적으로 원자재, 원재료의 생산 단가 상승.

 

- 전 세계적 인플레로 인한 대비도 필수라 생각.

-> 높아진 단가로 삶이 어려워진 사람들의 불만과 심해질 경우 시위 발생 위험.

-> 원자재의 확보를 위한 각 지역 간 분쟁 발생 위기.

 

2050년 탄소중립 목표 ‘그린 딜’은 한국경제에 영향 미칠까? - 이코노미스트 (economist.co.k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