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폐배터리 - 종류, 밸류체인, 전망 :: 킹제적 자유
반응형

1. 폐배터리의 분류

 

1) 재활용과 재사용

 

재활용과 재사용 비교

  • 재활용과 재사용으로 나뉨
  • 재활용은 완전 방전 후 아예 다 부신 다음 금속을 추출하는 방법. 습식, 건식공정이 있으며 한국에는 성일하이텍이 유명.
  • 재사용은 잔여 용량이 일정 수준 이상 남았을 때 사용하는 방식이며 배터리의 케이스만 해체 해 재조합함. ESS 향으로 많이 쓰임. 

 

2) 프로세스

 

 

  • 재활용은 소형,중형 가전에서 나오는 폐배터리가 주 타깃. 금속 추출.
  • 재사용은 전기자동차에서 나오는 폐배터리가 주 타겟. ESS 향.

 

 

2. 폐배터리 시장

 

1) 성장하는 산업

 

 

  • 전기차 등 배터리의 에너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 커질수록 폐배터리 시장은 반드시 따라오는 구조.
  • 지구의 금속은 한정되어있어 매번 새로이 캐낼 수도 없을 뿐더러 폐배터리를 그대로 버리는 것은 환경오염도 심각함.
  • 원자재 수급 이슈에 자유롭지 못할수록 더욱 박차를 가할 듯.
  • 전기차 배터리 수명 감안 대규모로 시장이 커질 시기는 2027~2028년부터로 보고 있음.

 

2) 국가별 정책

 

 

  • 폐배터리 관련해서는 미국이 제일 앞서는 중으로 보임.
  • 친환경을 무척이나 좋아하는 바이든 형님이 폐배터리 인프라 구축 정책과 기술개발의 지원에 적극 투자 중. 재처리율 90% 목표..ㄷㄷ
  • 유럽은 2020년 배터리 규제안 발표. 2024년부터 모든 배터리는 탄소발자국을 명시해야 하며 새로이 제작되는 배터리에는 재활용된 금속을 일정량 이상 넣도록 명시함.
  • 중국도 CATL의 폐배터리 진출 등 국가적으로 많이 밀어줌. 중국의 폐배터리 시장은 2030년 18조 5000억 원 예상.
  • 반면 아직 한국, 일본은 아쉬움.
  • 한국은 전기차의 배터리 관련 규제만 있지 그 외 수많은 소형, 중형 전자기기들에 관련된 법제화가 전무.

 

아래 본문에서 지속됩니다.

 

 

 

3. 기업의 폐배터리 활용 방안.

 

1) 모빌리티

 

 

  • 현대차: 전기차용 폐배터리를 수거 및 검사 후 ESS나 지게차에 재사용 방안. 용량 미달은 재활용. ESS 활용해 재생에너지 전력 재판매까지 검토 중.
  • 닛산+스미모토: 전기차화 유명 화학회사 스미모토가 협력. 전기차를 고객으로부터 사와 전기차 소유주의 금전적 부담 완화 및 ESS 재사용으로 친환경 부가가치 창출.

 

 

  • BMW+OFFGRID: 전기차 폐배터리를 모바일용(MPS)으로 전환해 친환경 행보. 주 타깃은 비상전원장치 행
  • 아우디+RWE: 전기차 폐배터리를 전기차 소비자로부터 사들여 ESS로 재사용. 친환경 전력 재판매까지.

 

  • 테슬라: 21년 배터리 원료의 92% 회수 기술 개발했으며 중국 전기차 배터리 100% 재활용 목표. NCM & LFP 둘 다 재활용 노리는 중. (역시 테슬라가 제일 잘하는 거 같기도..ㅋㅋㅋ)
  • 폭스바겐: 원자재 회수율을 60%>95% 연구 중. 배터리 가격 감소를 통해 전기차를 저렴하게 하여 전기차 보급 확산이 목표.

 

2) 2차 전지

 

 

  • LG 에너지 설루션: 전기차의 폐배터리를 전기차 충전용 ESS로 전환.
  • SK 이노베이션: 폐배터리에서 수산화리튬 추출해 폐배터리 재활용이 목표. 2025년 타깃. 원자재 채굴 시 발생하는 탄소량의 감축 효과. (SK에코 플랜트와 협력도 좀.. ㅎㅎ)

 

 

  • 노스 볼트: 21년 100% 재활용 금속을 활용한 NCM 배터리 제작. 95%까지 회수 가능한 기술 보유. 22년 재활용 공장 건설 통해 본격적 진출하여 연간 30 GWh의 재활용 배터리 제작. 2030년까지 재활용 소재 50% 배터리 셀 제작 목표
  • CATL: 21년 폐배터리 재활용 기지 건설 위해 320억 위안 투자. 자회사인 호남 방푸가 연간 폐배터리 처리 6000톤 가능. 원료부터 재활용까지 밸류체인 구축에 힘쓰는 중.

 

3) 기타(폐배터리 전문기업 등)

 

 

  • 레드우드 머티리얼즈: 폐배터리에서 핵심 물질 추출 목표. 2025년까지 연 100 GWh 전기차용 배터리 소재 생산 목표.
  • 거린메이: 폐배터리에서 핵심 물질 추출. 신규 원재료보다 저렴해 원가 경쟁력이 생기고 안정적 원자재 공급 목표.

 

 

  • GS 퓨쳐스: 폐배터리 재사용 가진 회사에 투자함. (잘은 모르지만 투자회사인 듯?)
  • GS 건설: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 건설해 GS 에너지의 ESS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등 신사업 타깃.
  • 차이나 타워: 통신 기지국용 에너지 저장장치를 폐배터리의 재활용 제품으로 대체 목표.

 

 

  • LG화학: 라이 사이클(LI-CYLE)에 투자했으며 2030년까지 장기적으로 재활용 니켈 공급받기로 계약. 
  • 바스프: 20년 광산기업과 협업해 재활용 기술 개발. 23년까지 재활용 공장 가동 목표.

 

4. 정리 요약

 

 

  • 앞서 봤듯 회사별로 활용 방안이나 대응책은 거의 유사. 핵심은 폐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잘 수급받고 규모의 경제를 일으켜 마진을 많이 남기는 것임.
  • 재활용 & 재사용 대형 사이클을 대비해 선제적 투자 필요.

 


삼정연구소에서 좋은 리포트 발간했습니다. 

 

나름 요약정리해봤고 본 글은 아래에 별첨 합니다.

 

2022 삼정 폐배터리.pdf
9.54MB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