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투자 종료/한국카본'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 :: 킹제적 자유
반응형

정해진 미래야 뻔하고.. 주가만 빌빌 댈 뿐인 우리 한국카본이

 

케이프 증권에서 조선 섹터 좋은 리포트 올려주셔서 업데이트해봅니다.

 

저는 주식 보유 중이고.. 저 따라 샀다가 물리고 책임져도 모릅니다ㅋㅋ

 

 

1. 환경 규제 이슈

 

현재의 감속 운항만으로 충분하다는 주장. 

 

2. 국적 선대는 그 반대..?

 

21년 초에 나온 국적 선대에 관한 기사와는 배치되는데 글로벌 선사들은 잘 준비해왔으나 국적선사는 아니었나? 아니면 21년 한 해동안 적극 개선 움직임을 통해 환경 규제에 충족하게 된 것인가?

 

"국적선 85%, 온실가스 규제 충족 못해" < 정책 < 해운 < 기사 본문 - 한국 해운 신문 (maritimepress.co.kr)

 

3. 차세대 연료

 

 

1) 메탄올

 

얼마 전 머스크(일론 머스크가 아닙니다. 덴마크 국적 세계 1위 선사 Maersk)에서 메탄올 추진 선박 발주를 냈다는 기사가 떴었고.. 이미 유럽 엔진 메이커 MAN과 협력해서 엔진 개발 완료했습니다. 2100 TEU급에 이어 16000 TEU급까지 발주했다는 것은 꽤나 의미 있는 기술력에 도달했음을 방증하는 것이겠네요

한국조선해양, 1.6조 규모 차세대 선박 수주… 메탄올 추진 컨선 8척 - 머니 S (mt.co.kr)

 

2) 암모니아

 

암모니아는 기존에 암모니아 인프라도 잘 구축되어있어서 벙커링에도 유리하고 LPG선은 지금의 LNG선처럼 DF 엔진 적용 시 별도의 탱크를 설치 안 해도 된다는 이점까지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기술 개발에 어려움을 겪는 중으로 보입니다. 그 기술력의 MAN 조차도 21년 개발 완료를 목표로 했지만 딜레이 됐다고 하네요.

해상 환경규제 강화되는데… 글로벌 해운업계, 대체 그린에너지 발굴에 ‘난항’ (hankookilbo.com)

 

3) 수소선

 

굉장히 먼 미래가 되지 않나 싶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수소 -> 암모니아 변환 수송 + 추진 연료는 암모니아 연료로 굴러가는 형태가 우선적이 될 테고,

차 후에 수소 -> 암모니아 변환 수송 + 선박 자체에 암모니아 -> 추진은 수소 변환 장치 + 수소 연료 전지 형태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금 일부 LNG 선박에 LNG 기화로 인한 재액화 설비를  장착해 운영하는 것처럼요.

 

 

4. 한국카본은..?

 

1) LNG 매크로

 

얼마 전 EU에서 친환경 연료로 천연가스와 원자력을 포함한 바 있죠. 신재생 트렌드에는 저도 찬성을 하지만 아직까지 기술력의 부족으로 신재생 원틀로 가기엔 변수도 많고 발전량도 모자라 여러 고초를 많이 겪을 것입니다. 

-> 난방비 상승, 발전 단가 상승으로 관련 밸류체인 물가 상승, 농산물가 상승 등 여러 분야에서 강력한 인플레를..

 

LNG 수요는 증가하는 현 상황에서 푸틴이 노드스트롬으로 유럽의 목을 쥐었다 폈다 하고 있죠. 기존에 4000KM 이내에선 해상 운송보단 PNG가 더 이득이라고 알려졌으나.. 유럽은 좀 더 비싸게 사더라도 수입처를 다변화할 필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을 것입니다. 

 

미국은 바이든이 셰일가스를 잘 안 풀어주지만.. 카타르에서 엄청난 LNG 광구 개발 프로젝트가 있죠.(저의 이전 포스팅 참조하시면..) 카타르에서 수입해오려면 해상운송이 그 수단이고 결국엔 LNG 발주량 증가로 귀결됩니다.(셰일에서 가져와도 결국 해상운송이고요)

 

<이전 포스팅>

https://financial-independent.tistory.com/21

 

2) LNG 건조 경쟁력

 

우선 LNG 선박 건조 기술에서 경쟁자의 경우 아직은 없습니다.

일본은 아웃된 지 오래됐고 중국의 경우 기를 쓰고 따라오고 싶어는 하는데.. 18, 19년까지만 해도 저가 수주로 일부 선사들이 중국에 LNG선 건조 맡겼다 납기 못 맞춰 제 날짜에 못 받기도 하고 운항이 안돼서 한국 조선사에 수리 맡기기도 하고 그랬습니다. 아직까지는 저가의 소형 컨테이너, 벌크, 탱커 위주라 봐야겠죠?

반도체로 비유하자면 첨단 공정은 한국, 대만이 다 하고 중국은 기존의 레거시 반도체나 겨우 하는 그런 수준?

 

3) 무지막지한 LNG 수주잔고.. 그리고 더 무지막지한 양이 기다리는 LNG 프로젝트

 

금번 리포트에서는 이미 진행 중 프로젝트로 무려 185척을 잡고 있습니다. 한국카본의 경우 삼중, 현중을 끼고 하기에 수학적으로도 삼성중공업, 현대미포, 현대중, 대조양 4 선사 중 3군데에 납품하니까 75%의 LNG 보냉재 수요를 담당한 다 볼 수 있습니다. (각 선사별 LNG 수주계약 따오는 것에 따라 또 달라지겠지만요)

 

그러나 90척 분량만 수주했고 건조단가도 하나도 오르지 않은 19년, 20년 기준에 의거해 척 당 150억에 계약받았다 쳐도

무려 1.35조 원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는 동성화인텍 발 재료 매출 제외에 LNG선 수요 증가에 따른 수주선가 상승의 혜택으로 납품 단가도 하나도 오르지 않은 150억 기준에 계산한 것입니다. 즉 미래의 장밋빛 변수를 제하고 현재 기준으로 대입해도 엄청 좋다는 뜻이죠.

 

그러나 기다리는 장밋빛 업황으로 OPM의 증가와 Feed 단계 프로젝트에서 실현되는 물량까지 예상해보면 미래는 자명하다고 느껴집니다. 비록 Feed 단계 425척 중 절반 날리더라도 200 여척은 남아있는 거 아니겠습니까?

 

좋다 좋다 말하면서 확신에 차 부정적인 요소를 놓쳐서 실패를 하거나 장밋빛일 때 경계해야 함은 맞습니다만.. 제 눈엔 업사이드 많아 보입니다.. ㅎㅎ 

 

 

 

 

 

반응형
반응형

오늘 또 수주 공시가 떴네요

도합 482억 기간은 약 18개월

 

1년~1.5년 후 마무리 작업 때 보냉 시공을 하기에.. 

빠르면 23년 상반기 늦어도 하반기엔 482억 수익이 잡히겠네요

 

2020년 최대 매출액 대비 약 15%..

 

기존에 쌓인 물량에.. 수주받아서 24년까지 꽉 찬 독에서 지속적으로 나올 물량에.. ㅎㄷㄷ 합니다

 

카본 근로자분들 고생많으시겠지만.. 힘 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LNG 선박의 매크로가 너무 좋아 투자를 시작했고... 근 1년 가까이 보유 중이며 물량은 줄였다 늘렸다 그러고 있습니다.

 

0. LNG 산업의 전망

 

 - 탈석탄의 대안으로 상대적? 친환경 연료로 각광받는 LNG로 인해 수요가 급증 중.

   -> 복합 화력 발전의 증가

 - 노후 스팀 LNG의 경우 IMO 규제를 맞추기 어려워 점차적 폐선 및 신규 선박으로 대체. (저속 운항으로 인함)

 - 수소 산업 또한 현재로는 천연가스 개질을 이용한 물량이 많음. (수소는 초기라 미미함.)

 

1. 회사의 소개

 

 - 당사는 1984년 9월 17일 탄소섬유 및 합성수지 제조를 주사업목적으로 설립

 - 낚시대 재료인 Carbon Sheet를 생산하며 1984년 설립, 출범

 - LNG 운반선 화물창의 핵심 부품인 INSULATION PANEL 생산

 - 바닥장식재의 필수 재료인 Glass Paper를 생산, 납품

 - 매출 구성: 보냉재 75.5% & 글라스 페이퍼 17.5% & Preperg 7%

 

 

2. 주요 사업

 

 - 현대중공업 및 삼성중공업 발 벤더

 - 국내 MARKⅢ / MARK FLEX 타입 LNG INSULATION PANEL 제작

 - 인슐레이션 패널 구성: R-PUF & TRIPLEX 

   -> 트리플렉스가 핫함-척당 30억이라고..

한국카본, LNG선 호재에 무인항공·모빌리티까지 - 아시아경제 (asiae.co.kr)

 

 

3. 신사업

 

 - 항공 및 차량경량화용 부품 및 소재: 걸프스트림 G280 꼬리날개 구조물 납품

   -> 9년간 290억원으로 연평균 32.2억 가량.

한국카본 美·이스라엘에 항공기 외장재 공급 | 한경닷컴 (hankyung.com)

  - 풍력발전기에 블레이드를 납품

한국카본, 두산重 풍력발전기에 탄소섬유 공급 (ebn.co.kr)

 - 철도부품용으로도 납품

한국카본 철도 객차 내장판 및 방탄 복합소재 공급계약 주목 e공시 | 한경닷컴 (hankyung.com)

 

 

4. 매출 

 - 산업재에서 매출이 감소함. 단순히 x1.33 해줘도 355,416으로 420억 감소.

   -> 21년 매출액: 3820억으로 전년 대비 7% 감소 추정. (현재 추세 지속 가정)

   -> 해당 매출은 20년에 납품했던 물량에서 오는 매출일 확률이 큰 데 코로나로 작업장 폐쇄와 물류란에 충격을 받아

       던 시기

   -> 그렇다면 22년에 제작하는 물량도 꽤나 피해를 볼 수 있을 듯한데 따라서 24년에 납품하는 물량까지 충격이 갈 수

       도?

 

 - R/T => R-PUF & TRIFLEX..?

 - 보냉재 생산의 감소가 주요한 요인: 물류대란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

   -> 현재 추세 지속 시  R/T(2430): 359   /   R/T(3050): 907로 전년 대비 각 14%, 19% 감소

   -> 추세가 변함없는지 반등 중인지는 주담 통화를 통해 확인 필요.

   -> 이 물량은 23년 매출에 영향을 미칠 예정.

   -> 단열 패널 용 WOOD의 수입 에러. 

   -> '요소 대란' 불똥 튄 가구업계… 생산·배송 올스톱 위기 (sedaily.com)

   -> 동사의 원재료 중 카본 원사, WOOD가 높은 비중을 차지

 

 

5. 수주 잔고

 - 여기에 12.15에 삼중 발 수주 1720억을 더해보면 

   -> 543,396,000 * 1180 + 172,000,000,000 = 8132억 ㅎㄷㄷ

 - 그 외 재무상 특이 사항은 없고..

 

 

 

6. 보냉재 추이 추정

환율은 멋대로 평균냈습니다.

 - 이렇게 하는 게 아닌가? 추정 실패..

   -> 왜냐하면 납품을 했지만 실적 반영 시기는 제각각이므로 발생한 현상.

   -> 수주받고 정확히 얼마 후 딱 정해져서 올라오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상황에 따라 유동적일 듯.

   -> LNG보냉재의 경우 공정 후반부이기에 더더욱 수주시기와 갭이 클 것 같다.

   -> 납품 액이 증가하고 있고 수주 잔고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 중인 트렌드에 집중하면 될 듯.

 

 - 주담 통화에선 18만 CBM급 LNG 척당 150~160억에 납품.

 - 또한 동성화인텍이 수주받으면 척당 22억 원에 납품.

 

 - 수주 잔고 계산한 걸 보면 8132억이고 동성화인텍 제외 시 7800억.

   -> 150억 초반 가격으로 계약한 듯.

   -> 21년 물량은 빠르면 22년부터 매출에 반영될 듯.

   -> 22년에 신규로 계약하는 물량은 올라간 선가 감안해 높은 가격으로 계약해주길 기대.

 

 - 2020년 매출은 18년에 발주됐던 물량이 핵심인데.. 당시에도 최대 수주를 했었음. 66척.(선가는 아쉬움)

 - 이로 인해 18년, 19년 내내 생산실적은 꽤나 타이트했고.. 그러던 중 20년도 꾸준히 LNG 신조 발주가 있었다.

왜.. 위아래 다르지?
증가하는 생산 실적

 - 2018년과 2019년 생산은 2020년 매출로 인식했는데.. 2020년의 엄청난 생산실적은 아직 매출로 반영되지 않은 것은

   로 판단.

 

 - 2020년 생산은 빠르면 2021년부터 매출 인식인데 2021년 매출이 미진한 걸로 봐선 2022년에 증권사 콘셉트를 넘는 어

   닝 서프가 있을 수도? 또한 2021년 생산 실적은 2020년의 생산 실적 대비 감소했지만 18년 19년과 비교해보면 엄청 많

   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꾸준히 매출은 좋게 찍힐 듯.

 

 

7. 수익 추정

 

 - 선박 수주 후 약 1.5년~2년간의 건조 기간을 잡으면 21년 내내 인도한 물량은 18년에서 19년에 수주받은 물량.

 - 이 당시 LNG 선가는 180 ~ 185백만 달러

   -> 19Y GPM: 17.8%  /  20Y GPM: 25.3% 

 

 - 앞으로는 20년에서 21년에 수주받은 물량이 빠르면 22년부터 인도될 예정.

 - 21년부터 선가는 반등해서 21년 12월 6일 기준 206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 증가

 - 21년 수주는 22년에서 23년에 반영 예상.

   -> 동사의 납품 단가의 상승도 기대해 봄.

 

  - 그러나 실제 매출액은 감소했는데... 2020년 앞서 추정했듯 보냉재 생산의 차질이 주원인으로 예상.

    -> 21Y 1Q GPM: 17.8%  /  2Q GPM: 16.5%  /  3Q GPM: 18.6%

   => 1,2,3 분기 모두 보냉재의 생산 실적이 20년 보다 못한 것으로 확인됨.

   => 매출의 감소가 여기서 유도된 것으로 판단되는데 주담 통화를 통해 사실 확인이 필요할 듯.

 

 - 그렇다면 22년도 물류대란이 지속될 까?

   -> 예측은 어렵고 해도 틀리겠지만 상반기는 어느 정도 비슷할 것 같고 하반기부터는 좋아질 것으로 기대.

   -> EEXI 규제로 저속 운항 + 선복량 부족(물류 적체) + 코로나로 인한 산발적인 작업장 폐쇄..?

   -> 비 용단에서 원재료 항목을 보면 의외로 원자재 가격은 FLAT 한데 이는 공급사 다변화로 인한 유연함 때문.

 

  - 보수적 추정을 위해 올해와 비슷하다고 보고..

  - 22년의 상승 요인으로 선가의 상승을 꼽아 1월 185백만 ~ 12월 205백만으로 평균은 195백만 달러.

    (월별 가중평균치를 적용해 평균 내는 것이 더 정확하겠지만...ㅠ)

    -> 그렇다면 선가는 평균적으로 6.4% 상승

    -> 보냉재 납품 단가 150억 ~ 160억이 160억 ~ 170억으로 증가.

    -> 동성화인텍에 재료 납품 단가 22억 원이 23.4억 원으로 증가.

   

  - 생각..

    -> LNG선의 핫한 수주 환경은 선가의 추가 상승을 야기할 수 있는 요인.

    -> 물론 실제로 올려줄지 또 얼마나 올려줄지는 내년 2분기 즈음?? 주담 통화해보면 명확해질 듯.

    -> 또한 동성화인텍의 경우 한번 더 거쳐가는 과정이 필요해서 더욱 덜 오를 듯.

    -> 반대로 한국카본 자체 물량 소화하기에도 버거워서 납품가 올라가 동성화인텍의 마진이 주는 현상이 생길 수도..

    

 

8. 밸류에이션

 

 

 

- 기 수주 물량과 차후 수주 예상 물량의 합으로 추정.

 

- 차후 수주 물량의 경우 22년 기확정 물량 37척에 한국 조선의 LNG 수주 확률 95%

  => 35척 확보. 해당 물량은 24년에 반영될 예정.

  => 조선소 별 LNG 발주 척 수를 알 수 있으면 좋겠는데.. 어디 가서 봐야 할까.. 전자공시에 따로 구분되어 있진 않네요.

 

가정 1)

 

 - 한국카본 물량과 동성화인텍 물량을 구분해보면..

  => 한국카본 관련 조선소 물량을 70% 로 가정해보면 24척. (21년은 77%)

  => 건조 단가가 21년 대비 10% 가까이 올랐으므로 척당 물량을 160억으로 가정해보면..

  => 24척 * 160억 = 3840억

 

 - 동성화인텍은

  => 11척 * 22억 = 242억

 

 - TOTAL: 4062억

 

 

가정 2) B2B 사업이라 정확하게 딱딱 맞아떨어지게 추적하기가 힘드네요 ㅠㅠ 실력의 부족도 있겠지만요

 

 - 2020년 매출은 2018년과 2019년의 생산실적 평균에서 온다고 가정.

   => 4000억

 

 - 2021년 매출은 2020년과 2019년의 생산실적 평균에서 온다고 가정.

   => 3분기까지 2666억이고.. x1.33 해서 4분기까지 추정은 3555억. (컨센은 3735억)

   => 4분기에 얼마나 반영될지는 모르지만.. 3555억 보다는 높지 않을까? 매출에 계절성, 분기 성은 딱히 안보임.

 

 - 그러나 생산 실적은 2018년 ~ 2019년 평균 대비 2019년 ~ 2020년에 약 30% 증가.

   => 4분기에 수주 반영금액 증가 혹은 2022년 이연 매출로 기대.

   => 또한 2020년 ~ 2021년 생산 평균이 반영되는 2022년 ~ 2023년은 17% 증가

 

 가정 3) 생산 실적 대비 매출액을 빗대어 보면..

 

 - 2021년에 발생했을 매출액은 4000억 * 1.3 = 5200억

   => 21년 추정 매출액이 3555억이므로 1645억이 이연 물량 / 컨센 대비로는 1465억

   => 보수적 추정을 위해 컨센 수치를 사용.

 

 - 2022년에 발생할 매출액은 5200 * 1.17 = 6084억

   => 보수적 추정 위해 할증률 계산: 3555/5200 = 68% & 3735 / 5200 = 72%

   => 6084 * 0.68 = 4137억

   => 이는 위의 가정 1에서 추정한 4062억과 약 75억 차이.

 

 - 보수적 추정 위해 4062억을 적용.

   => 2021년 이연 매출 1465억을 더해주면 = 5562억

   => 또한 2022년 매출 할증에 따라 2023년에 기 확정된 매출액은 6084억 - 4062억 = 2022억

 

 - OPM 20% / NPM 15% 적용 시

   => OP: 1112억 / NP: 834억.

 

 적정 밸류)

 

 - 현재 시총 4660억 대비 834억은 멀티플 x5.6배로 몹시 저렴.

 - 밴드 상 10~20배였던 만큼(2011년에 최대 35배) 희망 목표 시총은 8400억 ~ 16800억

 - 매출이 급증함에 따라 OCF와 FCF 또한 덩달아 늘어가니 DCF로도 좋은 수치 기대.

 

   => 제 계산이 틀릴 확률은 몹시 높지만.. 방향성만큼은 분명하다는 거.

   => 중요한 건 하단은 짱짱하게 막혀있다는 거.

   => 놀라운 것은 보냉재 매출만으로 실적 추정한 것이고 여타 사업부는 포함하지 않았음!

   => 또한 선가 인상에 따른 보냉재 납품 단가 인상도 미포함!

 

 - 2023년엔 기 확정된 매출 1947억 확보하고 시작.

 

 - 활짝 열린 상단. 카타르 발 대량 수주가 곧 다가옵니다!

  -> 참고:  https://youtu.be/PT6 zmJLR5 qs

  -> 근거로 카타르에서 새로운 생산 구 개발한다고 선언. 해당 생산 구에서 추출하는 LNG는 25년에서 26년으로 예상 

  -> 22~24년에서 발주 낸 물량이 24~26년 운항 가능하기에 향후 3년간 지속적으로 발주할 듯.

  -> 이미 카타르 국영 회사 QP가 한국 조선사 LNG 운반선 발주 위한 최대 150척, 23조 원에 달하는 슬롯 계약.

  -> 러프하게 150척의 절반을 현중, 삼중 발 물량으로 잡고 선가도 2020년과 동일해 보냉재 납품 단가 하나도 안 올라

      다고 가정해봤을 때.. 

      => 한국카본: 150억 * 75척 = 11250억

      => 동성화인텍: 22억 * 75척 = 1650억

      => 총 합: 12900억으로 2020년 4000억 대비 3배.

 

 

 

  * 하방은 막혔고 상방은 열린 그런 종목?? 보냉재 위주로 분석해봤지만.. 신사업에서 새로이 무언가 터져주는 것은 또

    다른 보너스가 될 것 같네요.

  * 기존 사업에서도 탄탄히 하방을 받쳐주기도 할 것이고요.

  * 복잡하고 주저리 한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