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청하던 IPO도 미루고 철회하고 상장해도 하방으로 뚜드려맞는 요즘 SK에코플랜트는 계획대로 착착 잘 진행중입니다.
자금 조달도 순조로이 하면서 회사 DNA인 M&A도 잘 하고 있습니다. 총 1조 조달했네요.
이 돈으로 폐 빳떼리도 사고 삼강엠앤티도 지분인수하고 얼마전 태양광 회사 지분도 인수하고 그러겠죠 ㅎ
2022.06.24 - [산업 - 친환경 & 신재생/SK 에코플랜트] - SK에코플랜트 태양광 회사 인수
한편으로 보면 금리가 올라가고 경기가 둔화되는 시기에 이렇게 빡세게 사업 확장을 해도 돼? 싶지만 그러나 M&A 귀재인 경영진과 재무 구조도 잘 따져가면서 이쁘게 포트폴리오를 만들어가는 SK에코플랜트를 잘 추적해볼 계획입니다.
10조는.. 힘들더라도 ㅠㅠ 제가 처음에 목표로 산정한 7~8조는 충분히 가능하다 판단하고요. 7조만 가줘도 지금 회사 가치의 2배는 먹고 들어가는 당상입니다.
반면 15조는 지금의 사태만 놓고 보면 꿈만 같은 수치죠. 한 때 언론에 15조라고 흘리기 까지 했던 이력이 있지만요.
내년도에 원자재가 좀 안정되주고 윤 대통령의 250만호 공급 추진과 3기 신도시 에 힘입어 건설 부분도 목표 EBITDA를 달성해 줄 수 있지않나 기대해 보고요.
1. 6000억
1) 신주
- 전환우선주 형식으로 6000억 투자.
- 우선주 <> 보통주 비율은 5:1
- 신주(우선주) 발행가는 주당 45만. 보통 주로 전환 시 9만원.
2) 투자자
- PF도 보이고 하나은행, KB증권, 삼성증권, 한투, NH증권 도 보이고 그러네요.
- 에코얼라이언스홀딩스의 경우 특수목적회사(SPC). 펀드운용사인 프리미어파트너스와 이음프라이빗에쿼티가 각각 운용하는 사모투자펀드(PEF)로 설립.
- 그린이니셔티브2호PEF는 산업은행과 유진프라이빗에쿼티에서 운용하는 PEF. 브레인에코PEF는 브레인자산운용에서 결성한 PEF.
- 기업 성장에 포커싱을 둔 일명 Growth 투자 형태.
2. 4000억.
1) 신주
- 4000억 조달.
- 마찬가지로 전환 비율은 5:1
- 주당 425,535원으로 전환 시 85017원.
- 지금 7.4만 수준으로 6000억 조달 보다는 18%, 4000억 조달 금액 보다는 5.5% 저렴한 가격에 매수하는 셈임 ㅎㅎ. 기관들보다 싸게 살 수 있다는 말 ㅎㅎㅎ
- 저보다 백만배 이상 똑똑한 사람들이 밸류 매겨서 단체로 투자하는 건데.. 투자 판단에 일정 부분은 참고해도 괜찮지 않을까요? ㅋㅋ
2) 투자자
- 키스도미노 제일차는 글랜우드 PE 가 운용하는 사모 펀드. 이력은 나름 괜찮아 보임.([단독/레이더M] 토종 사모투자펀드 운용사 글랜우드PE, 크레딧 부문 신설 - 매일경제 (mk.co.kr)
- 그리고 한투. 한투는 이번 유증에 토탈 21만주 가량 인수해가네요. 얼추 180~190억정도 투자.
[fn 이사람] 이찬우 글랜우드크레딧 대표 "시장 넓어진 PCF… 글로벌 PEF와 경쟁할 것" - 파이낸셜뉴스 (fnnews.com)
'산업 - 친환경 & 신재생 > SK 에코플랜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기물 산업의 현황과 전망, SK에코플랜트의 미래 (0) | 2022.08.13 |
---|---|
SK 에코플랜트 - 삼강앰엔티 인수, 바이오 수소 (0) | 2022.07.28 |
SK에코플랜트 태양광 회사 인수 (0) | 2022.06.24 |
언더스탠딩 - SK 에코플랜트의 폐기물 산업 이야기. (0) | 2022.06.11 |
SK에코플랜트 - 연료전지 1위. 수전해 설비 시범 운영. (0) | 2022.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