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탱커 향방 - 러시아 원유 대체 방안과 탱커 운임 상승. :: 킹제적 자유
반응형

러시아 전쟁 여파로 수입처 다변화 이슈가 있고 ESG로 원유 공급 제한과 OPEC의 증산 거절로 원유 공급이 수요를 한참 못 따라간 지 꽤 됐습니다. 러시아 산 원유의 대체 방법과 그로 인한 투자 논리까지 연결 지어봤어요

 


1. 러시아의 오일 파이

 

 

러시아 원유

 

  • 글로벌 수요 1억 배럴/일 에서 11% 해당하는 1100배럴/일 생산하며 수출량 기준으로는 470만 배럴/일 임.
  • 자체 수요를 제하고 수출하는 게 실질 공급이기에 470만 배럴 기준으로 보는 것이 정확할 듯.
  • 서시 베리 아산 우랄 원유가 주로 공급 생산지.
  • 러시아 제제로 현재 100만 배럴/일 의 초과 수요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원유가 급등 중.
  • 오펙에선 이번 기회다싶어서 그동안 셰일오일 + 저유가로 고생했던 거 보상받으려고 증산을 최대한 천천히 하고 있죠. 기름 한방울 없는 한국 국민 입장에서 참 얄밉습니다. 하루 40만배럴/일 을 월단위로 천천히 올리고 있습니다.
  • 바이든의 연락도 무시하고 영국총리 방문도 효과없고 그냥 세계가 어떻든 원안대로 가겠다는 원칙을 고수 중 입니다. 이란의 원유 풀리는 것도 경계하는 부분도 있겠죠. 
  • 아랍에미리츠에서 러시아 산 원유 대체는 힘들다고 언플까지하면서도 증산은 오펙 합의를 따라가겠다고, 정치논리를 들이밀지 마라고 했더군요 에휴.UAE "러시아산 원유 대체할 나라 없다" - 매일경제 (mk.co.kr)

 

러시아 원유 수출

 

 

2. 경제논리에 따라 움직이는 국가들

 

원유 할인

 

3. 베네수엘라 원유

 

베네수엘라 원유

 

아래 본문에서 지속됩니다.

 

 

4. 이란 원유

 

이란

  • 개인적으로 확률이 높다고 판단.
  • 핵합의가 상당히 완성단계로 왔는데 마지막 걸림돌이 이란은 정권의 교체 유무와 관계없는 불가역적인 약속을 원하고 바이든이 정권 교체를 장담할 수 없기에 이 부분이 걸리는 중. 또한 러시아의 딴지 아휴;;
  • 그러나 고유가에 돈도 고픈 이란 또한 굉장히 원유 판매는 몹시 원하는 부분이라 조만간 좋은 소식이 나오지 않을까..
  • 실제로 그들은 원유 수출 준비차 생산, 저장을 많이 늘렸음. 허가만 나면 즉시 수출하겠다는 의지.(관련 기사: 이란산 석유, 한국에 대거 들어온다… 미국과 핵협상 타결 임박 (g-enews.com)
  • 제제 후 중국발과 암수요 그리고 자체 수요까지 해서 255만 배럴/일 사용해왔던 걸로 판단되고 제제 해제 후엔 유럽향, 인도향 등으로 다시 400만 배럴/일 까지 회복 기대. 중국과 인도가 러시아 산 원유를 늘린다면 이란 산 원유의 타 국가로의 공급은 좀 더 여유 있어질 듯. 그러면.. 인플레의 완화에도 기여하지 않을까.
  • 관련 기사: 이란 원유 수출 제로 불가능… 중국·인도 수입 유지할 듯 | 한경닷컴 (hankyung.com)
  • 또한 가스 매장량이 많은 것도 강점. 이란 > 터키 이란 > 유럽으로 PNG의 확대를 생각해볼 수 있고 한국 등 동아시아로의 LNG 공급 확대도 기여할 듯. 
  • 천연가스 가격의 하락도 전 방면에 걸친 인플레이션 완화에 도움을 줄 듯.

 

5. 미국산 원유

 

미국

  • ESG 기조 하에 외면받아왔던 원유 시추가 높아진 경제성으로 인해 시추사들의 움직임을 이끌어내는 중.
  • 실제로 리그 카운트가 증가하고 있고 생산량도 그에 맞춰 증가하는 중.
  • 아직 2010년대 초반의 많은 리그수에는 한참 못 미치지만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

 

 

6. 탱커의 향방 (투자 논리)

 

 

 

1) 길어진 항행 거리

 

  • 러시아 산 원유 중 비중이 가장 컸던 러시아 > 유럽 운송은 거리가 짧죠? 그러나 유럽은 러시아한테 목줄좨여 살기 싫다고 점차 줄여나갈 테고 그러면 장기적으로 증산이 가능산 미국산, 이란산 등을 받아들일 것입니다.
  • 항행 거리가 길어지는 만큼 운임비도 많이 받을 것입니다. 따라서 VLCC를 많이 보유한 해운사가 상대적으로 이점을 받을 것입니다.

 

2) 비축유 방출

 

  • 또한 요즘 전략 비축유를 자꾸 방출한다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이야 정치권의 인플레 의식으로 방출하지만 산유국이 아닌 나라들은 언젠가는 다시 그들의 탱크를 채워놓을 수밖에 없습니다.
  • 국민들이 매년 사용하는 양도 물론 많지만 국가가 나서서 전쟁 등 비상시를 대비해 비축하는 양도 엄청 날 것이고요. 그에 따라 원유 가격이 충분히 안정되고 인플레 이슈가 잠잠 해질 때쯤엔 정부차원에서 수입하는 양이 늘어나 운임이 좋을 것이고요. 

 

3) 환경 규제와 폐선

 

  • IMO의 EEXI, CCI 규제로 노후선은 점차 운항을 못하게 됩니다. 그냥 운항만 못하게 되면 해운사 입장에선 골머리 아팠을 테지만 그들의 입장에선 다행히도 철 가격이 미친 듯이 올라서 철 스크랩 수요가 폭증해버렸습니다. 또한 철 스크랩은 전기로를 사용하기에 고로 대비 친환경적이라 사용량도 늘어나고 있고요.
  • 탱커는 더블 헐 즉 이중선체구조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무슨 말이냐면 사고 시 원유가 해상 유출이 됐을 때 불러올 피해가 막심해서 선체를 이중으로 설계-제작합니다. 이는 탱커 하나 만들 때 타 선박 대비 후판이 많이들 어가는 것도 있지만 반대로 폐선할 때 철스크랩이 많이 나온다는 뜻입니다. 이참에 해운사는 더 이상 운항하지 못할 노후 탱커를 스크랩으로 팔아버려 타 선박 대비 더 많은 스크랩 수입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주 폐선 처리 국가인 방글라데시, 인도, 파키스탄 이쪽도 이제 코로나 이슈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21년 대비 22년에는 폐선 처리 용량도 늘어납니다. 탱커 선대의 축소는 가속화될 듯합니다.
  • 해운사들은 CO2 등 배출 규제를 맞추기 위해 감속 운항도 해야 합니다. 감속 운항은 선대 물동량 감소를 불러와 더 많은 탱커가 필요하게 됩니다.
  • 거기다 조선 강국인 한국, 중국의 독에선 이미 먼저 물동량 난리가 났던 컨테이너와 카타르의 150척 LNG 선 발주, 미국 셰일 가스를 위한 LNG선 발주(미국, 유럽) 등으로 이미 도크는 2025년까지 컨테이너와 LNG로 가득 찼습니다. 탱커의 유의미한 발주는 빨라야 2025년 이후를 바라봐야 합니다. (참고기사: 국제해사기구(IMO) 규제 덕에 수주 쾌재 이어지는 韓조선 3사 - 이코노미스트 (economist.co.kr)

 

4) 수요의 증가, 줄어드는 재고

 

공급 / 수요
재고

 

5) 결론

 

  • P, Q, C 논리에 따라 P(장거리 운송과 탱커 공급 제한에 따른 운임 상승) / Q(원유, 정제유 수요 증가) 
  • 리스크는.. 이 모든 것을 무시할 세계적 경제 둔화겠지요? 이 날이 오면 탱커뿐만 아니라 모든 주식, 모든 자산이 위험해지니 이 부분은 꾸준히 잘 추적해야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