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러시아 삽질의 여파
- 전세계적인 인플레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
- 노드스르롬2 취소 및 유럽의 천연가스 수입처 다변화: LNG 수혜(카타르, 미국 셰일)
- 각 국의 신재생 드라이브 오히려 강화: 그린플레이션이라던지 그런 말 들로 전쟁 전 고 인플레의 비난을 친환경으로 돌렸는데 전쟁으로 인해 천연가스, 오일, 전력 생산 비용 등 증가로 오히려 신재생 테마 부각 조짐.
2. 우후 죽순 군비 확충
- 우크라이나는 과거 세계 4위 군사 강국이었으며 핵도 보유했었음.
- 서방과 미국의 말 믿고 비핵화 및 군비 소홀의 결과 이 사태가 일어남.
- 독일도 위기를 느꼈는지 무기의 수출을 비롯해 gdp 2%까지 국방예산 증강하기로 함.
- 이번 사태를 전 세계에서 다들 보고 있으므로 느끼는 바가 많을듯 ㅎㅎ
https://news.v.daum.net/v/20220301140123717?x_trkm=t
반응형
'산업 - 친환경 & 신재생 > 수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재생 대 전환의 유럽 & 이판사판 러시아로 모두가 피해보는 물가와 식량난 (0) | 2022.03.12 |
---|---|
글로벌 수소 소식 - 생태계, 투자 관련 기사 소개 (0) | 2022.03.09 |
2022 수소 산업 전망 - 한국 플랜트 산업 협회 (0) | 2022.02.27 |
ESG, 친환경, 신재생 관련 투자는 위험하다. (0) | 2022.02.24 |
DOE, 초당적 기반시설법의 95억 달러 청정 수소 이니셔티브 수립 (0) | 2022.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