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5G 산업 (3) - 5G의 장, 단점과 미래 :: 킹제적 자유
반응형

3. 5G의 특성

 

1) 5G 장점

 

 

  • 전송속도 20Gbps 초고속, 1 msec의 초저지연, 100만 기기 이상의 초연결. 3초!!
  • 초고속: 28Ghz라는 고대역의 주파수는 빠른 전송속도와 전송량을 가능케 함.(LTE는 2.6Hz 이하). 기존 LTE에서는 할당 대역폭이 분산되어있어 트래픽이 분산됐었고 5G로 오면서 데이터 트래픽이 통합되어 속도도 상승.
  • 초저지연: 다시말해 응답속도. LTE보다 10배 빠름. 무선으로 연결 될 사회에서 빠른 응답 속도가 명령을 받는 사물의 빠른 리액션으로 나타나기에 정밀 작업, 사고위험방지 등 중요한 요소.
  • 초연결: IoT, 자율주행차 등 모든 것이 연결 될 앞으로의 사회에서 연결 기기 수가 작다면 지연이 발생하거나, 용량 초과로 한 기기(EX. 스마트폰)로 컨트롤할 수 있는 것이 제한됨.

 

 

2) LTE와 체감 상 차이가 없는 이유

 

  • 한국의 현재 5G 네트워크는 NSA(종속모드)라고 쉽게 말해 단독망이 아닌 LTE에 기생한 네트워크임. 소위말해 3.5 Ghz의 반쪽짜리 네트워크였기 때문.
  • 특히 한국의 경우 세계 최초 5G 타이틀을 얻기 위해 3.5 Ghz에 집중했었고 반면 미국은 28 Ghz에 포커싱을 뒀음. 
  • 다만, 이제는 네트워크 망 입찰 및 할당이 끝났고 이제 SA(단독 모드)로 나아갈 시기.
  • 한국이든 미국이든 2021년에 통신사 별 28 Ghz 주파수 할당이 완료됐기에 2022년부터는 본격적으로 Capex에 힘쓸 것으로 예상. 이 점 때문에 5G 장비사에 수혜가 가지 않을까..
  • 한국 통신사는 28 Ghz 네트워크 구축하라는 과기부 경고에도 아직도.. ㅂㄷㅂㄷ... 코로나로 공사가 지연된 부분도 있으니 2022년부터는 기대해 볼 수 있지 않을까요.

 

3) 5G 용 고주파의 특징

 

아래 본문에서 이어집니다.

 

 

  • 앞서 1)에서 언급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28 Ghz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는데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파의 도달거리가 짧고 회절이 약해 데이터 송, 수신의 공백 지역이 많이 생긴다.
  •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많은 중계기, 스몰셀, 안테나를 설치해 보완해야 하는데 여기에 투자 포인트가 있다. (에이스테크, 서진시스템, RFHIC, 케이엠더블유)
  • 스몰셀: 커버리지의 부족 지역마다 비싼 기지국을 설치하는 대신 스몰셀을 활용하면 설치 비용이 저렴하고 유지보수비용도 들지 않는다. 또한 자체적으로 데이터 처리도 가능하다.
  • 중계기: 역할은 스몰셀과 비슷한데 스몰셀 대비 더욱 저렴하고 자체적인 데이터 처리 능력은 없는 편이다. 5G 용 고주파수에 맞는 중계기로 업데이트가 필요할 것이기에 스몰셀 못지않게 수요는 많을 듯.
  • 중계기를 최말단에 배치하고 스몰셀을 중간 단계 최종으로 기지국으로 이어지는 흐름으로 완성될 듯합니다. 
  • 또한MIMO(멀티 인풋-멀티 아웃풋) 연결 시스템을 도입해 커버리지의 공백을 최소화하고 전송속도를 더욱 증가시킨다.
  • MIMO 시스템이란 말 그대로 하나의 폰과 하나의 안테나가 연결되는 것이 아닌 여러 개의 폰과 여러개의 안테나가 연결되는 것인데 만약 내 폰이 동시에 8개 안테나와 연결된다면 전송 트래픽이 분산되기에 처리속도도 빨라지고 한 안테나에서 신호가 모자라더라도 나머지 7개에서 분산하기에 충격도 적게 된다.

 

4) 5G가 그려나가는 미래

 

  • 자율주행차: 중앙 클라우드와 차에 내장된 카메라, CPU 등에서 생성된 고용량 데이터를 빠르고 신속하고 지연 없이  주고받아야 함. 그래야 클라우드 속 AI가 정확히 판단해 주행 가능하기 때문. 또한 운전 중 실내 승객은 여러 인포테인먼트를 활용해 미디어 감상, 화상 회의 등 본인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음. 그렇기에 초저지연, 초고속이 필수적으로 요함.
  • 메타버스 등 가상세계: 엄청난 데이터가 왔다 갔다 하는데 동영상 수준의 용량만 무리 없이 처리하는 LTE 수준으로는 절대 불가능. 정말 현실 같은 가상현실이 AR/VR에 녹아드려면 5G가 필수임.
  • 스마트 팩토리: 많은 기기가 한 번에 연결되어 여러 공정의 컨트롤을 중앙의 클라우드와 AI가 수행함으로써 작업의 효율과 수율 상승, 제품력 강화 등 여러 효과가 기대됨. 초연결성, 초저지연.
  • IoT: 많은 기기가 하나의 제어기(EX. 스마트폰)로 연결됨. 많은 기기가 연결되는 초연결성이 필요한 부분.

2022.03.19 - [5G] - 5G 산업 (1) - 2022년 트리거가 되어줄 미국.

2022.03.19 - [5G] - 5G 산업 (2) - 네트워크 구조

 

긴 글 따라와주셨다면 감사합니다.

 

통신업계사람도 아니고 전공자도 아닌지라 공부에 참 어려움이 많았고 여전히 깊이도 얕은거 같네요

 

개별 종목별로 스터디하면서 또 보강해나가고 투자 종목도 추려봐야겠습니다. 

 

그리고 15분 정도 짧은 영상인데 5G에 대해 전반적으로 쉽고 포인트별로 잘 짚어줍니다.

강추합니다 이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XPRFD1vjGaY 

 

 

반응형

+ Recent posts